중국발 '경제 긴축' 황사
  • 왕성상 편집위원 ()
  • 승인 2007.04.30 09: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중국 정부가 ‘경제 긴축’을 추진하자 국내 기업에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1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을 웃도는 11.1%를 기록하는 등 과열 양상을 빚자 원자바오 총리가 긴축 정책을 긴급 지시했다.
주요 내용은 넘쳐나는 돈을 거두어들이는 ‘과잉 유동성 흡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것. 대출 축소, 투기성 자금 차단, 고정자산 투자 억제 등 조처들이 따르게 된다. 여기에 금리 인상, 위안화 절상 등 통화 및 환율 정책 차원의 추가 대책도 예견되어 있어 중국과 거래가 많은 국내 기업들이 긴장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지난해 두 번의 금리 인상, 세 번의 지급준비율 인상을 했는데도 과잉 투자 및 유동성 문제가 풀리지 않아 당국이 골머리를 앓아오고 있다.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경계선을 넘어선 소비자 물가, 일부 투기 조짐을 보이는 부동산 시장도 중국 경제의 걸림돌이다.
문제는 중국이 경기 조절에 나서면서 소비와 투자가 줄어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가 당장 큰 타격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중국의 긴축 가능성이 거론될 때마다 한국 증시가 출렁거리는 것이 단적인 예다. 이른바 ‘차이나 쇼크’가 우리 경제 전체에 미치고 있다는 얘기다.
지난 4월19일 중국 정부의 GDP 성장률 발표 때도 세계 주식 시장이 요동을 쳤다. ‘미국 경제가 재채기를 하면 한국 경제는 감기 걸린다’는 말처럼 ‘중국 경제 황사’가 우리 쪽으로 날아와 ‘황토덩어리’가 되어 악재로 작용하는 것이다.
중국은 우리의 최대 투자국이자 수출 시장이다. 국내 기업들의 수출액 중 20%가 넘는다. 또 그곳으로 내보내는 상품의 80% 이상이 부품이나 반제품으로 현지 조립 또는 가공을 통해 제3국으로 팔린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 긴축은 우리에게 곧바로 영향이 미쳐 수출에 직격탄을 맞을 것이 뻔하다.
게다가 중국에 나가 있는 1만5천여 한국 기업들이 임금 인상, 노사 문제, 세금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중고까지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긴축 정책에 따른 국내 경기의 파장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현지 경제 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시장 접근 전략이 절실하다. 단기 대책보다 될 수 있는 대로 멀리 보고 묘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중국 위기 관리 대책 수립과 정부 차원의 통화·환율 정책 재점검도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 즉석 불고기 식의 반짝 대응책이 아니라 ‘만만디 전략’으로 길게 보고 경제 수술에 나설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예의 주시해야 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