될 만한 소재 총망라해 성공한 ‘기획의 결정판’
  • 하재근│대중문화평론가 ()
  • 승인 2012.02.07 01: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댄싱퀸>의 흥행 요소를 통해 본 최근 대중문화 흐름

ⓒ CJ엔터테이먼트 제공

영화 <댄싱퀸>이 2백만 관객을 넘기며 흥행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 이 영화를 보며 감탄하게 되는 것은, 요즘 인기 있을 만한 코드가 다 들어 있기 때문이다. 정말 없는 것 없이 다 넣었다. 이렇게 영리한 기획 영화도 드물다. 그러니 만큼, 이 작품을 분석하면 요즘의 대중문화 트렌드를 알 수 있다.

일단 이 영화에는 주부의 자아 실현 코드가 들어 있다. 평생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만 하며 살았던 주부가 젊었을 때의 꿈을 찾는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요즘의 대중문화계에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는 여성들의 흥미를 자극한다. 상당수의 주부 대상 통속 막장 드라마도 이런 테마를 다룬다. <조강지처 클럽>에서는 여주인공이 남편의 구박을 받다가 커리어우먼으로 변신했고, <아내의 유혹>에서는 섹시한 유혹녀가 되었다.

20~30대 여성도 이런 내용에 공감한다. 보잘것없는 여성이 자신의 꿈을 찾아 멋진 전문직 여성으로 거듭난다는 주제에는, 보편적인 통쾌함이 있기 때문이다. 예상을 깨고 높은 시청률을 올린 <동안미녀>에서 장나라가 바로 그런 캐릭터를 보여주었었다.

게다가 <댄싱퀸>에서 여주인공인 엄정화가 자아를 실현하는 부문은 바로 가수이다. 트로트 가수도 아니고, 걸그룹이다. 요즘 한국에서 가장 각광받는 코드인 아이돌을 집어넣은 것이다. 이 영화에서는 기획사가 하나의 걸그룹을 꾸리기까지의 뒷이야기들이 깨알같이 펼쳐진다. 나이 속이기, 출신 위조, 걸그룹 내부 암투, 프로필 사진의 ‘뽀샵질’까지, <강심장> 같은 토크쇼에서 가장 각광받는 소재들이 줄줄이 나온다.

<슈퍼스타K>도 나온다. 엄정화는 오디션에 나갔다가 떨어졌지만 마침내 정식 가수 데뷔라는 성공 스토리를 이룬다. 이것도 최근에 한국인이 열광하는 ‘희망’의 이야기이다.

2011년 대표작 중의 하나인 <써니>는 주부들이 젊은 날의 우정과 꿈을 찾는 내용이었다. 그것은 대단히 성공적이어서 여성 관객 몰이에 성공했고 복고 열풍을 낳았다. 이 작품은 <써니>의 그런 구도와 흡사하다. 주부의 꿈이라는 코드도 그렇고 복고 분위기도 그렇다. <댄싱퀸> 초반은 1980년대 이야기이다. ‘지랄탄’도 나오고 백골단도 나온다. 전경이 시위대를 진압하는 모습을 음악과 함께 코믹하게 묘사한 점도 비슷하다. 여성들이 좋아할 만한 소재와 복고, 오디션, 아이돌 등 최근의 주요 키워드들을 종합적으로 버무린 것이다.

대중이 원하는 소재에 영화적 재미 불어넣어

ⓒ CJ엔터테이먼트 제공
선거의 계절이다. 요즘 정치는 가장 ‘핫’한 이슈이다. 특히 20~40대는 정치에 대한 불신과 분노로 들끓고 있다. 이 영화는 이 부분도 영리하게 집어넣었다. 그것은 남편 역할인 황정민을 통해서다.

일단 서울시장 선거가 나온다. 지난해 가장 뜨거웠던 주제이다. 민주화 투쟁 경력이 있는 변호사라는 설정은 박원순 시장을 떠올리게도 한다. 황정민은 정치와 아무 상관도 없이 살던 일개 서민형(?) 변호사였는데 갑자기 서울시장 후보가 된다. 그의 동창인 국회의원이 황정민을 영입하러 오자 황정민은 이렇게 말한다. “나를 왜 그런 똥통에 빠뜨리려 하는데?”

정치판을 ‘똥통’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20~40대의 정서이다. 이 영화에서 당 대표는 ‘우리 정치인 중에는 아무도 선거에 나갈 만한 사람이 없다’고 말한다. 위장 전입, 병역 비리, 세금 문제, 성추행 중 어떤 것에든 연루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새 얼굴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것도 요즘의 일반적 정서이다.

최근에 당원 동원식 전당대회에서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전당대회로 바뀌는 것이 대세이다. 이 영화는 그 부분도 반영한다. 전당대회 모습이 가장 흥미진진하게 느껴지는 바로 그 시점에 기민하게 그 광경을 영화에 그려냈기 때문이다. 돈 봉투도 잊지 않고 배치했다.

강남 대 비강남 구도로 정치판이 전개되고 있다. 이 영화에는 이것도 반영되었다. 엄정화는 ‘강 건너 사시는’ 사모님들과 대결하는 강북 주부이다. 봉사 활동을 하러 가서 카메라들을 앞에 놓고 아이 목욕시키는 장면도 잊지 않았다.

요즘 인기를 끄는 드라마인 <빛과 그림자>에도 구 권력 세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전반에 깔려 있다.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해를 품은 달>도 서민을 생각하는 개혁 군주와 기득권 귀족 세력이 대립하는 구도이다. 얼마 전 인기를 끌었던 <뿌리 깊은 나무>에도 서민 친화적 지도자에 대한 열망이 깔려 있었다. <댄싱퀸>은 남편 황정민의 정치 진입을 통해 그런 정서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가히 기획의 결정판이라 할 만하다. 당대에 될 만한 소재를 총망라했다. 단지 소재의 나열에 머무르지 않고 영화적 재미까지 성취했다는 점이 <댄싱퀸>의 미덕이다. 충분히 웃기고 마지막에는 눈물을 흘리게 만든다. 이 영화를 통해 요즘의 트렌드들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될 만한 소재들’이 어떻게 이야기로 버무려지는지도 확인할 수 있겠다. 

‘똥통’과 ‘개판’에 대한 보통 사람의 분노 담은 영화들

연초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영화는 <부러진 화살>이다. <댄싱퀸>이 정치를 ‘똥통’이라고 한다면, <부러진 화살>은 재판을 ‘개판’이라고 말한다. 정초에 흥행한 양대 영화가 정치와 사법부를 통타한 셈이다. 이 영화들은 어느 힘 없는 보통 사람이 그런 ‘개판’과 ‘똥통’에 맞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 관객은 뜨거운 호응을 보내고 있다.
 
<부러진 화살>에서 기존 권력을 대표하는 판사와 검사는 대단히 고압적이다. 또, 사학 재단 교수 사회와 이어지는 거대한 기득권 집단을 이룬다. 주인공은 스스로 법을 공부해 그런 판사와 검사에게 맞선다. 힘 없는 그가 판사를 궁지로 모는 모습은 네티즌을 통쾌하게 했다.
 
<댄싱퀸>에서 기존 정치인과 그 ‘사모님’은 기득권 집단을 이뤄 황정민과 엄정화를 무시한다. 그들은 밀실 야합과 지지자 동원을 통해 권력을 독점하려 한다. 황정민은 자신의 열정과 진심으로 그들에게 맞선다. 이것도 관객을 통쾌하게 한다.
 
이 두 영화가 극장가 흥행을 쌍끌이하는 것만 보더라도 요즘 민심이 심상치 않음을 알 수 있다. 겨울 방학인데도 가족영화를 눌렀을 정도이다. 작심하고 사회 고발 영화로 만든 <부러진 화살>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오로지 흥행을 위해서 만든 말랑말랑한 기획 영화인 <댄싱퀸>에마저 시민의 분노와 물갈이 의지가 반영된 것을 보면 확실히 민심은 끓고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