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강조하는 사교육 억제책, 새 형태 사교육 낳는 ‘풍선 효과’ 일으켜
  • 이규대 기자 · 윤명진 인턴기자 ()
  • 승인 2012.08.19 15:1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대치동과 목동, 중계동 등 주요 학원가의 학생 수가 실제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인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현장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하나는 장기화된 경기 침체의 여파라는 것, 다른 하나는 현 정부의 사교육 억제 정책의 영향으로 사교육 문화 자체가 변한 탓이라는 것이다.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서민 경제는 끝없는 침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연간 월평균 실질 가계 소득 증가율은 1.7%로,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3.6%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경제 성장의 결실 중 가계로 돌아가는 몫이 그만큼 적었다는 뜻이다. 이렇듯 서민 경제가 위축된 탓에 사교육비 지출도 줄어들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중계동에 있는 한 대형 학원 관계자는  “현장에서 직접 학부모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은, 사교육 시장의 ‘파이’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사교육을 향한 욕구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다만, 여러 개 보내던 학원을 하나씩 줄여나가는 학부모들이 늘어난다는 것이 피부로 느껴졌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여파인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교육 억제 정책의 영향도 일부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주요 학원가의 수요가 줄어든 이유로는 수능이 쉬워진 점이 첫손가락에 꼽힌다. 지난해 수능은 ‘물수능’이라고 불릴 정도로 난도가 낮은 편이었다. 이런 기조는 수능에 대한 사교육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당분간 유지될 방침이다. 수능 문제의 70%를 EBS 교재와 연계해 출제하는 방침과 마찬가지의 맥락이다. 이에 대해 대치동 ㄱ언어학원의 관리부장 박 아무개씨는 “수능이 쉬워지면서 상당수의 상위권 학생이 학원을 그만두었다. 그러면서 대형 학원보다는 중소형 학원들이 더 타격을 받았다. 대치동의 중소형 학원들은 대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과학원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말하자면 수능 문제를 쉽게 내는 입시 정책이 학원 수요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사교육을 공교육의 일부로 끌어들인 ‘방과 후 학교’와 특목고 입시 제도를 내신 중심으로 개선한 것 등도 학원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Event> 시사저널에서 '월드비트 비나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시사저널 인기 기사]

▶ 박근혜, 검증대 칼날 위에 서다

▶ 그칠 줄 모르는 ‘탈세의 진화’ , 세금 제대로 내면 바보?

▶ [단독] ‘디도스’ 피의자, 막강 변호사 붙었다

▶ 밀양 고교생 44명에 당한 성폭행 사건 피해자, 8년 지나도 ‘악몽’은 그대로

▶ 통일교 2세 전쟁, 또다시 불거지나

▶ 우면산 복구 현장 논란 휩싸인 ‘신세계 회장집’

▶ 세계 들썩인 <비나리>, 도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