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쪽같이 속일 미끼 계속 개발
  • 이규대 (bluesy@sisapress.com)
  • 승인 2013.04.09 15:0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이스 피싱의 시작은 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06년 5월18일 인천 간석동 지점 거래 고객이 국세청을 사칭한 사기범 전화를 받고 800만원의 피해를 입은 것이 최초였다.

미끼가 그럴듯해야 고기가 잘 잡힌다. 누구나 미끼인 줄 아는 것은 이미 미끼가 아니다. 이른바 ‘대세’를 이루는 방식은 항상 바뀌어왔다. 사기범들은 특정 기관을 집중적으로 사칭하다가 이 수법이 널리 알려지게 되면, 사칭 기관이나 수법을 바꿔가면서 범행을 지속해왔다.

김성언 경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양영진 당시 창원중부경찰서 지능팀장이 쓴 공동 논문 ‘전화 금융 사기 범죄의 진화’에서 이를 집중 분석했다. 처음 보이스 피싱이 등장한 2006년 이후 사건 기록을 검토해 ‘환급금 빙자(국세청·국민건강보험공단) → 신용카드 대금 연체 빙자(금융감독원·금융회사) →납치·협박 빙자 → 수사기관 사칭(법원·경찰) → 전화요금 연체 빙자(통신회사) → 택배 사칭(우체국·택배회사)’의 순서로 주요 전술적 기법들이 바뀌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스마트폰 보급 등 정보통신 기술 혁신이 일어나면서 사기 수법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단순한 ‘보이스’ 피싱을 넘어 모바일 피싱, 금융전산망 직접 해킹 등의 다양한 수법들이 나타났다. 최근 문제가 된 파밍 역시 그 일종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