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해’ 진짜 전기차 한번 타볼까
  • 권용주│오토타임즈 기자 ()
  • 승인 2013.09.16 15:31
  • 호수 124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르노삼성·기아·쉐보레 10월 출시 정부 보조로 4000만원짜리 2600만원에 구입 가능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났다. 증가세를 견인한 전기차는 내연기관(엔진)과 전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다. 100% 전기로 구동되는 ‘순수 전기차’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자동차회사들은 앞다퉈 전기차를 내놓고 있다. 순수 전기차로의 이동은 필연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일반 소비자 판매를 전제로 3종의 전기차가 등장했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전기차를 구입해 운행할 수 있는 기반이 닦인 셈이다.

미국 시장조사 기관 IHS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3만7000대다. 숫자는 미미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3.5%나 늘어났다. 미국과 유럽이 앞다퉈 전기차를 밀어주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특히 유럽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전기차 확대를 유도했다. 덕분에 프랑스 르노의 소형 전기차 ‘조이(Zoe)’는 2000대 넘게 팔리는 진기록을 세웠다.

급속 충전기 보급이 관건

세계 각국이 전기차에 주목하는 이유는 탄소 배출 감소 때문이다. 탄소가 주성분인 원유를 태울수록 지구 온도를 끌어올리고, 따뜻해진 지구는 빙하를 녹여 해수면을 높인다. 결국 삶의 터전을 놓고 갈등이 유발될 수밖에 없으며, 인류는 공멸의 길로 들어선다는 게 미래학자들의 주장이다. 물론 낙관적 전망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는 점이다. 이산화탄소는 떠나려는 열을 가둔다. 따라서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의 30%를 차지하는 수송 부문의 탄소를 줄여야 하는 게 최대 과제다. 그 결과 전기차에 주목하게 됐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정부 차원의 전기차 보급이 활발해졌다. 따라서 개인에게 전기차는 선택이지만 국가, 나아가 지구 전체로 보면 필수인 셈이다.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내연기관과 전기를 동력으로 겸용하는 하이브리드, 내연기관을 발전기로 활용해 전력을 얻는 주행거리 연장 전기차(Extended Range), 100%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되는 순수 전기차(Electric Vehicle)다.

이 가운데 오는 10월부터 일반 판매에 들어가는 것은 순수 전기차(EV)다.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뒤 전기로만 움직이는 자동차다. 탄소를 태우지 않기에 배출되는 탄소도 전혀 없어 무공해 차로 불린다. 게다가 소음과 진동이 없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문제는 가격이다. 경형 전기차 가격이 4000만원을 넘어 여간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정부는 전기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동급 내연기관 자동차와 가격을 비교해 차액의 절반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경형 전기차 가격이 4000만원이고, 동급 경형 내연기관 차 가격이 1200만원이면 차액은 2800만원이다. 환경부 보조금은 2800만원의 절반인 1400만원에 달한다. 이 경우 4000만원인 전기차 구입비는 2600만원으로 부담이 작아진다. 물론 2600만원도 만만치 않은 가격이다. 그래서 추가 보조금을 주기로 결정했다. 단, 이때 지급 주체는 지방자치단체다. 지자체가 보조금 지급을 결정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현재 10여 곳인 전기차 선도 도시 가운데 지자체 예산으로 800만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곳은 제주도가 유일하다. 하지만 창원시도 보조금 지급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기차 구매 가능 지역은 차츰 늘어날 전망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급속 충전기 보급이다. 220V 가정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려면 평균 6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환경부가 20분이면 배터리의 80%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기를 보급 중이다. 현재 전국에 설치된 충전기 외에 환경부가 2017년까지 급속 충전기 300개를 설치한다는 목표를 세운 배경이기도 하다.

환경부가 보급하는 급속 충전기가 최근 논란에 휩싸였다. 충전 방식의 표준이 없어서다. 10월부터 판매될 전기차의 충전 플러그는 제각각이다. 따라서 어떤 방식이 보급되느냐에 따라 전기차들의 희비도 엇갈릴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 판매될 전기차는 르노삼성 SM3 Z.E. 기아 레이 EV, 쉐보레 스파크 EV 등 3종이다. 하지만 제품이 다른 만큼 충전 방식도 다르다. SM3 Z.E.는 교류 3상, 기아차 레이는 차데모, 쉐보레 스파크는 콤보1 타입이다. 이 가운데 환경부가 보급에 나서려는 급속 충전기는 교류 3상과 차데모 방식이다. 쉽게 보면 르노삼성 SM3 Z.E.와 기아 레이 EV에 맞는 급속 충전기만 중앙정부 차원에서 보급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자 쉐보레는 스파크 EV가 생산되는 경남 창원 지역에 콤보1 타입의 급속 충전기를 직접 설치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주유소가 많아야 내연기관 자동차 이용에 불편함이 없는 것처럼, 충전기가 없으면 판매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차 구입할 수 있나

오는 10월 일반 판매를 앞둔 국산 전기차는 기아차 레이 EV, 쉐보레 스파크 EV, 르노삼성 SM3 Z.E. 등 3종이다. BMW도 한국에 전기차 i3를 내놓을 예정이지만 시기는 내년이다. 이 가운데 전기차 보급이 적극적으로 이뤄지는 곳은 단연 제주도다. 전기차 구매자에게 환경부 보조금 외에 제주도 자체적으로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전기차 구매 신청자를 접수한 결과 160명 모집에 480명이 지원했다. 특히 지원자들이 선호한 차종은 SM3 Z.E.로 나타났다. 전기차라도 크기에 민감한 성향을 아낌없이 드러냈다. 게다가 제주도는 그동안 급속충전기를 꾸준히 설치해서 전기차 운행에 불편함이 별로 없다.

제주도에 이어 전기차 확대에 나선 곳은 창원이다. 한국GM 공장이 위치한 만큼 보급에 열심이다. 현재 대전·광주·영광·당진·포항·안산·춘천이 전기차 선도 도시로 선정돼 있어 이 지역 거주자가 전기차를 사면 환경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 추가 보조금은 자체 결정 사안이라 확대 여부는 지자체 재정과 의지에 따라 달라진다.

전기차의 등장은 이제 시작이다. 20세기 초 정유사들이 주유소를 확대하면서 밀려난 전기차가 친환경으로 다시 주목받는다.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전력 생산에 또 다른 에너지가 투입돼 환경 실익이 적다는 비판도 있지만 전력 생산은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할 수 있는 만큼 현실적인 무공해 이동 수단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그래서 “전기차 시대가 도래했는가”라고 묻는다면 거기에는 “이제 시작 단계”라는 말이 정답일 것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