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이번엔…” 박근혜 “어림없다”
  • 윤희웅│민(MIN) 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 ()
  • 승인 2015.03.03 10: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야당 지지율 상승…박 대통령 지지율 회복 안간힘

2월25일 취임 2주년 기념일에 박근혜 대통령은 카키색 재킷을 다시 꺼내 입었다. 청와대 직원들을 향해 청와대를, 원래 군대 용어이기도 했던 TF(태스크포스)팀에 비유하며 사명감을 고취시키기도 했다. 직원들에게 긴장감을 불어넣고 대통령도 결연한 자세를 가다듬는 의식을 치른 것이다.

청와대를 둘러싼 최근의 기류는 낮고, 자욱하다. ‘파이팅’을 외치며 힘찬 출발을 다짐한 청와대의 행진 소리도 무겁게 내려앉은 적막감을 깨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국민이 대통령을 바라보는 지표인 국정 지지율은 여전히 30%대에서 맴돌고 있다. 설 명절이 지난 연휴 마지막 날인 2월22일에 실시한 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33.5%였다(JTBC-리얼미터 공동조사). 국정 운영의 최소 동력이라고 일컬어지는 30% 전선에 바짝 붙은 것이다.

2월22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서울 아산병원에 마련된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부인 박영옥 여사 빈소에서 김 전 총리를 위로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정 지지율이 낮으면 여당은 대통령의 목소리를 잘 들으려 하지 않는다. 여당의 눈길은 청와대가 아닌 국민을 향할 수밖에 없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여당의 청와대 외면 현상은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40%선 이상으로 회복되면 얘기는 달라질 수 있다. 여당은 대통령에게 의지하게 된다. 국민의 지지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받고 있는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기도 어렵다. 여당의 ‘반항’을 청와대가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 흐름은 추락 속도는 빨랐지만 회복 속도는 느리다. 지난 연말에 빠진 정치적 늪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말정산 폭탄 논란, 건강보험료 혼선, 총리 후보자 자질 논란, 친박 위주의 개각, 비서실장 인선 지연 등 악재들이 말끔하게 해소되지 못했다. 수세적 국면이 집권 3년 차를 시작하는 시점에도 계속된 것이다. 이로 인해 2015년 새해, 설날 연휴, 취임일이었던 2월25일 등 중요한 정치적 시점에서 여론의 반전을 끌어내지도, 국민적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데도 성공하지 못했다.

‘박근혜 대 문재인’ 구도 만든 것 주효

역대 정부와 비교해볼 때도 최근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낮다. 심지어 역대 가장 낮았다는 평가를 받는 노무현 대통령의 집권 3년 차 시작 즈음의 국정 지지율보다도 낮다. 집권 3년 차를 시작하기 직전 연도인 2004년 하반기의 노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20%대까지 떨어지는 최악의 상황이었다. 하지만 2005년 새해를 맞으면서 상승해 취임 2주년을 맞은 2월 말엔 37.8%까지 끌어올렸다(국민일보, 2005년 2월21일).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 집권 3년 차를 맞기 직전 국정 지지율이 46.4%까지 나왔다(MBC-코리아리서치, 2010년 2월17일). 첫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으로 바닥을 쳤지만, 이후 친서민 중도 실용 노선 표방, 해외 비즈니스 외교 등이 정치적 효과를 가져왔다. 역시 이 대통령도 임기 3년 차를 맞는 시점에 악재를 떨쳐내고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정당 지지율에서도 여권의 위협 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정권의 한 축인 여당의 지지율과 야당 지지율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는 것이다.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이 20% 내외에 머무르다가 2월8일 전당대회를 거치고, 대여 공세를 강화하면서 일부 조사에서 30% 선을 돌파해 새누리당과의 격차를 10% 이내로 좁히고 있다. 설 직후 실시된 조사에서는 새누리당 39.5%, 새정치민주연합 30.7%였다(JTBC-리얼미터, 2월22일).

야권 성향층에서는 보수 정치 세력에 대한 견제 심리와 비판적 정서가 강화될 때 야당에 대한 지지 표출을 적극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새정치연합 지지율 상승도 정부·여당에 대한 실망과 불만, 그리고 이에 따른 견제 심리 강화에 힘입은 바 크다. 문재인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서 정국 구도를 ‘박근혜 대 문재인’으로 가져간 것도 주효했다. 지난 2012년 대선에서 야권에 기대를 걸었지만 이후 흩어져 있던, 지지 강도가 다소 옅은 야권 성향층을 다시 끌어모으는 효과로 작용하기도 했다.

임기 3년 차로 진입하는 시기 이전 정권들의 정치 지표를 참조할 때, 현재 여권의 위상을 안정적이라고 진단하기는 어렵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정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반전의 모멘텀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새누리당은 비록 새정치연합에 비해 지지율이 우세하지만, 야권층의 결집 현상이 일정 부분 나타나 여야 간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


상대의 연속 ‘똥볼’로 야당 지지율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이 2월8일 전당대회가 끝난 후 꾸준히 상승하더니 30%를 웃도는 조사 결과까지 나오고 있다. 리얼미터가 설 직후인 2월22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30.7%였다. 20%도 되지 않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상전벽해라 불릴 만하다. 전당대회를 치르면서 국민들의 주목도가 높아졌고, 차기 유력 주자이기도 한 문재인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서 흩어져 있던 야권층의 기대감이 커져 결집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의 차기 대권 주자 지지도는 대표 당선 이후 계속 상승해 2월22일 리얼미터 조사에서 28.5%까지 올랐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새정치연합의 지지율 상승이 매끄럽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야권층은 평상시에는 야당에 대한 지지를 드러내지 않는다. 선거 시기와 같이 여당과 첨예하게 경쟁할 때, 여당의 확장을 막고 견제가 필요할 때 야당 지지를 밝히며 힘을 보탠다. 즉 최근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고조되고 있고, 여권을 견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 데 따른 반사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정부·여당의 실정에 따른 상승과 전당대회 컨벤션 효과로 인한 상승은 안정성을 동반한 게 아니다. 순수한 자력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후 내부적으로는 4월 보궐선거 공천 등을 놓고 갈등이 다시 불거지거나, 외부적으로는 정부·여당이 지금의 혼란을 정비하게 되면 새정치연합에 대한 지지율이 최근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