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현시한 대우조선 노조위원장 “방만 경영 책임을 왜 노동자가 져야 하나”
  • 박성의 기자 (sincerity@sisabiz.com)
  • 승인 2015.09.02 15: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사 매각 반대· 임금 현실화 요구
현시한 대우조선노동조합 위원장 / 사진 = 박성의 기자

조선업종 노조연대가 오는 9일 공동파업에 돌입한다. 인력 구조조정과 임금 협상이 틀어진 게 불씨가 됐다.

조선업종 노조 파업이 발표되자 여론은 악화됐다. 국가 기간산업인 조선업 전반이 어려운 상황에서 임금인상 등을 내건 파업은 이기적이란 지적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우리나라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켜온 귀족노조”라고 힐난했다.

적자 폭이 가장 컸던 대우조선해양의 노조가 비판의 복판에 섰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분기 3조원대 영업 손실을 겪고 인력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등을 자구책으로 내놨다. 현시한 대우조선 노조 위원장은 “사측이 노동자 현실을 외면한 것이 파업을 불렀다”고 주장했다.

아래는 현시한 노조위원장과 일문일답.

- 파업에 나선 이유는.

조선업 호황기에 국내 조선사들은 매년 수십조원씩 벌었다. 당시 보유 현금을 노동자에게 나누라고 요구했지만 사측이 거부했다. 어려울 때 대비해 돈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와서 말이 바뀌었다. 회사가 어려워지자 노동자를 자르고 회사 건물을 팔겠다고 나섰다. 그때 쌓아둔 돈은 어디로 갔나. 결국 경영진의 방만 경영이 화를 불렀지만 피해는 고스란히 노동자에게 돌아왔다.

- 3조원대 영업손실이 발생한 상황에서 임금 인상은 무리라는 지적이 있는데.

회사가 호황기 경영진 연봉은 매년 올랐다. 그에 비해 일선 노동자 수당은 7000~1만원 인상됐다. 같은 회사에 있으면서 경영진과 노동자 인상 폭은 천지 차이였다. 노동자들은 50도까지 치솟는 현장에서 땀 흘리며 일하고 있다. 무리한 요구가 아닌 임금을 현실화 하자는 거다. 매년 임금 인상에 각박했던 사측이 이제는 불황이라서 임금을 올릴 수 없다고 핑계를 댄다.

- 사측이 본사 건물매각과 임금피크제 강화를 자구책으로 내놨다.

임금피크제는 이미 시행되고 있다. 58세부터 60세까지는 임금의 80% 수준을 받는다. 더 강화하는 것은 무리다. 조선 현장은 나이가 든다고 일이 쉬워지진 않는다. 연차가 많든 적든 같은 일을 하는 데 돈을 더 적게 준다는 것은 부당하다.

본사 매각은 무책임한 처사다. 한 회사의 본사를 파는 것을 노사 협의 없이 결정했다. 본사를 매각한다면 임대료 등을 고려해야 한다.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본사 건물을 지키는 방향으로 대안을 내놔야 한다.

- 산업은행이 부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사하는데.

현장에서는 불만이 많다. 관리단이 상주하면서 채권단 입맛대로 경영한다고 기업이 되살아 나지 않는다. 산업은행이 기업 육성 정책 없이 채권 회수에만 열을 낸다면 정상화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시급한 것은 빠른 금융지원이다. 일단 단기적인 현금 흐름 회복이 급선무다.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조선 노조가 ‘귀족노조’라고 비판한다.

김무성 대표가 현장을 안다면 그렇게 말할 수 없다. 조선업은 수많은 비정규직의 희생으로 유지되고 있다. 얼마 전 화재사고로 사망한 노동자 2명에게 사측이 안겨준 보상금은 9000만원이다. 한 사람이 평생 몸담은 회사에서 화재로 죽었다. 그런데 몸값이 1억원도 안 된다. 이게 귀족의 현실이다. 비판하려면 현장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또 정치인이라면 파업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

- 앞으로 계획은.

하계휴가 전에 노사 협상을 타결하자는 게 목표였지만 사측이 타협안을 내지 못했다. 이제는 추석 휴가 전에 합리적 타결점을 찾는 것이 모든 사업장의 목표다. 정부와 경영진이 적극적인 대화 자세를 보여줄 때라고 생각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