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은 곧 현금이다
  • 안은주 기자 (anjoo@sisapress.com)
  • 승인 2002.12.09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 브랜드 관리 ‘살벌’…삼성은 이미 로열티 수입 ‘짭짤’



2001년도의 브랜드 자산 순위를 그룹 별로 분석하면 현대는 11개, LG는 10개, 삼성은 7개, SK는 5개 계열사가 100위권에 진입했다. 계열사 수만 놓고 보면 현대가 앞서지만, 금액으로 환산하면 SK그룹이 22조원, 삼성이 15조원, LG가 12조원, 현대가 4조원 순이다. 한마디로 SK그룹은 부가가치가 낮은 브랜드를 여럿 보유하기보다 경쟁력 있는 브랜드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셈이다.


SK그룹이 떠오른 것은 ‘OK, SK’라는 태그라인 전략이 성공한 덕이다. 브랜드 전문가들은, SK그룹이 고객이 OK할 때까지 노력하는 기업이 되겠다는 약속을 ‘OK캐시백’ 서비스로 실천했다고 본다. 그로 인해 고객들은 SK가 고객을 위해 노력하는 그룹이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SK그룹은 규정을 만들어 계열사조차도 함부로 브랜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SK 브랜드를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그룹심의위원회 의결 과정을 거쳐야 한다”라고 말했다. 부실한 서비스나 제품에 대해서는 아예 ‘SK’ 브랜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삼성그룹도 브랜드 자산 관리를 잘한다고 평가한다. 특히 삼성은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강점을 이용해 이미 ‘브랜드 장사’를 하고 있다. 외환 위기 때 일부 계열사 또는 사업 부문을 외국 기업에 넘기면서 삼성은 자신들의 브랜드를 쓰는 대가로 로열티를 받기로 계약했다. 르노삼성자동차·삼성테스코·볼보건설기계코리아를 예로 들 수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2000년 삼성자동차를 인수하면서 영업이익을 내면 브랜드 로열티로 그 해 매출액의 0.8%를 지불하기로 했다. 올해 처음 영업이익을 낼 예정인 르노삼성자동차는 삼성측에 100억원대의 브랜드 사용료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돈은 상표권 소유 회사인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이 거두어들인다.


삼성물산은 1999년 유통사업 부문을 영국 테스코 사에 넘기면서 홈플러스 점포 1개를 새로 열 때마다 브랜드 사용료 4억원씩을 받기로 계약했다. 삼성테스코 사는 지난해 점포를 7개 새로 내 삼성물산에 브랜드 사용료 28억원을 지급했다. 삼성중공업도 1998년 볼보건설기계코리아에 중장비 사업부문을 넘기면서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삼성 로고가 붙은 제품에 대해 2003년까지 매출액의 1%를 받기로 해 지금까지 총 60억원을 벌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