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정부 조직이 흡수하라
  • ()
  • 승인 1999.04.01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업자, 정부 조직이 흡수하라

경제 위기 한파로 가장 추위를 타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바로 중산층이다. 커버 스토리 ‘빈곤이 세습되는 계급 사회 도래한다’[제490호]를 읽고 나니 중산층이 겪는 고통이 생각보다 더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중산층의 몰락은 대부분 기업의 구조 조정과, 중소기업 부도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아직도 구조 조정이 끝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된서리’를 맞는 중산층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백만에 달하는 실업자의 고통을 달래기 위해 실업 기금 조성과, 공공 근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나는 정부가 그같은 임시 방편으로 실업자들을 달랠 것이 아니라, 중산층의 몰락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록 국가 경제가 일부 계층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국민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산층의 몰락은 곧 국가의 몰락을 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만약 중산층의 몰락을 외면한다면, 그 뒷감당은 고스란히 정부가 떠안아야 할 것이다. 이 선에서 중산층이 몰락하는 것을 막으려면 정부 조직이 실업자를 끌어안아야 한다. 제2차 정부 조직 개편은 ‘축소 위주’로 보인다. 그러나 인원을 줄이기 위한 기구 축소보다는,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인력 배치로 구조 조정의 효과를 더 높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정부는 기업에서 퇴직한 우수 인력을 흡수해, 실업에 대한 중산층의 불안을 덜어주어야 한다.

박보현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

남 비웃는 듯한 문체 거슬려

문화 평론가 진중권씨가 쓴 문화 비평 ‘왜 갑자기 한자 혼용인가’[제490호]를 관심 있게 읽었다. 진씨가 비판한 한자 혼용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논외로 하겠다. 내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진씨가 자기와 다른 주장에 대해 비웃는 듯한 문체를 쓰고 있다는 점이다. 스트레이트 기사나 논문이 아니고 칼럼이기 때문에 자기의 생각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이의 사상과 관점을 비판하고, 자기의 생각을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예의를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진씨의 이번 칼럼은 매우 좋은 내용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지하지 못한 표현으로 인해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어려웠다. 그리고 깊이 생각해야 할 주제를, 가볍게 읽어버리게 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김덕준 (부산시 부산진구 범천2동)

‘장기 기증’ 기사를 읽고

장기 기증 희망자가 10만 명이 넘는다는 내용을 담은 ‘장기 기증 온라인, 조직 은행 문 연다’[제490호]를 읽고 나니, 우리나라가 갑자기 아름답고 희망 있는 나라처럼 여겨졌다. 나 자신도 10여년 전부터 장기 기증을 하려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은근히 겁이 나고, 아버님의 반대로 미루어오다가 비로소 며칠 전 용기를 내어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에 장기 기증 의사를 전달했다. 크리스천으로서 그동안 나는 과로·폭식·폭음을 일삼았다. 그리고 돈에 대한 집착도 버리지 못했었다. 그러다가 불쑥 불혹을 맞게 되니 가진 것이라고는 몸과 정신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와중에 ‘장기 기증 온라인…’ 기사를 읽게 되었고, 점점 더 각박해져 가는 사회에 내 몸뚱이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결정을 내렸던 것이다.

이용자 (경기도 일산시 덕양구 고양동)


‘장기 기증 온라인…’ 내용 가운데 ‘88년에 처음 시작된 뇌사자의 장기 이식 사례가 모두 3백13건으로 전체의 2.1% 수준이다’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3백13건은 ‘뇌사 판정자’ 숫자로, 뇌사 판정자가 장기 이식까지 가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88∼97년 장기 이식 사례는 대한의사협회에 보고된 1천1백32 사례가 좀더 정확한 수치이다. 여기에 보고 누락분까지 합한다면 상당한 숫자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성낙준 (서울시 용산구 이촌1동 대한의사협회)

문화 인권 찾기, 아직은 이르다

‘문화적 권리도 인권에 속한다’[제490호]를 읽으면서, 한국이 과연 지금 문화적 권리를 말할 때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주도에서 열린 세계인권선언 50주년 기념 학술 토론회에서 문화적 권리가 인권 문제로 부각된 것은, 일부 논객들이 자신들을 위해 행사를 연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지금도 우리 주변에는 점심을 굶는 아이들이 수없이 많다. 그런데도 문화적 권리를 말할 수 있는 걸까. 안타깝다. 학술 토론회라는 것이 대부분 일회성인 경우가 많지만, 이번 행사로 과연 문화적 권리가 조금이라도 늘어났는지 묻고 싶다.

고영선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공군 지역사령부 창설’에 공감

‘공군 지역사령부 창설 시급’[제490호]은 육군 육성에 치중하는 한국군의 조직 개편에 이의를 제기한 좋은 기사였다. 이제 전쟁의 승패는 지상전보다 공중전에서 결판 날 가능성이 높다. 기사에서 지적한 대로 공군 전투비행단의 화력이 육군 1개 군단의 화력을 능가하듯이, 공군력 강화는 군 전체의 힘을 키우는 최고의 길이다. 국방에 문외한인 본인도 이번 기사에 수긍이 가는 부분이 많았다. 정부는 공군 지역사령부 창설이라는 좋은 제안을 연구하여, 효율적인 군 체제를 짜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동철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

‘주장’ 난 부활했으면…

시론은 그때그때 사회 전반에 일어나는 중요 문제에 대해 <시사저널>의 의견과 주장을 펼치는 난으로 알고 있다. 어떻게 보면 <시사저널> 지면 가운데 가장 무게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기사보다 재미는 없지만…). 그동안 <시사저널>을 쭉 보아오면서 인상 깊었던 시론은, 시론이 아니라 ‘시사저널 주장’에 실렸던 글들이었다. 직접 발로 뛰며 쓴 글이어서인지 그때는 글에 힘이 있었고, 나름으로 기사를 쓰는 기자들의 속내를 알아보는 재미도 있었다. 그런데 요즈음 시론에는 그런 활력과 긴장이 거의 사라져 버렸다. 딱 두 사람이 돌아가면서 쓰는 글 내용도 주로 정치와 관련된 것이 많아 관심 밖일 때가 많다. 가능하다면 필자를 늘려 주고, 아니면 예전의 ‘주장’ 난을 부활시켰으면 한다.

백승봉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방사선 기사’의 바른 말은 ‘방사선사’

제490호 독자한마당을 보니 전남 여수의 독자가 <시사저널>이 ‘…필름 판독을 전담할 진단방사선과 기사를…’이라고 쓴 것을 ‘진단방사선과 기사는 필름 촬영만 할 수 있다’고 바로잡았다. 맞는 말이다. 여기에 몇 가지 더 보충 설명을 할까 한다. 하나는 방사선과는 크게 진단방사선과와 치료방사선과로 분류된다는 점이다. 필름 판독은 진단방사선과 전문의만이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기사’라는 말은 틀린 표현이라는 점이다. 진단방사선과 기사라는 말은 국어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임상병리사·방사선사·물리치료사 들을 의료 기사라고 하는데, 따로 구분해서 부를 때는 방사선사라고 불러야 옳다. <시사저널>같이 권위 있는 주간지가 좀더 바른 말을 써주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조언한다.

문용두 (충남 서산시 동문동 서울병원)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