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아오르는 대권 그라운드 최후 지배자는?
  • 고제규 기자 (unjusa@sisapress.com)
  • 승인 2006.09.29 18:5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 전문가가 꼽은 2007년 대선 ‘관전 포인트’ 정계 개편·오픈 프라이머리 등 변수 수두룩

 
정치의 계절이 시작되었다. 정기국회가 끝나는 12월에나 정계개편론이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보였지만, 추석을 전후로 봇물 터지듯 터졌다. 추석 때 만난 식구들치고 정계 개편이나 대선 주자를 화제로 올리지 않은 이들이 드물 것이다.

정계 개편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양하다. ‘민주개혁대연합론’ ‘범보수연합론’ ‘중도보수연합론’ ‘중도세력통합론’ ‘통합신당론’ ‘제3당론’ 등 가히 백가쟁명이다.

정계개편론은 차기 대선과 맞물려 있어 기정사실화되었다. 대선은 정치권이 가장 이해득실을 따지는 때다. ‘전부 아니면 전무(All or Nothing)’로 결판나기에 이번 정계개편론은 단순히 ‘설’로 그칠 가능성이 낮다.

게다가 여론도 나쁘지 않다. 지난 9월28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따르면, ‘열린우리당은 현재의 틀로 안 되므로 중도 개혁 세력과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70.9%나 나왔다. 한나라당을 향해서도 ‘새로운 보수 세력으로 재편하라’는 주문이 51.6%였다.

범여권은 이미 속도를 내고 있다. 열린우리당 안에서 제기되는 정계개편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노무현 대통령의 승차와 하차 여부를 두고 엇갈린다. 여권의 대권 주자는 정계 개편에 대비한 시동을 걸었다. 평소 정계 개편에 대해 말을 아끼던 김근태 의장은 12월 초에는 정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소신을 밝혔다. 독일에서 돌아온 정동영 전 의장도 정계개편에 대비해 조직 챙기기에 나섰다.

여권은 정계 개편을 위한 체질 개선도 이미 마쳤다. 후보 선출 방식을 당원이 아닌 국민이 100% 참여하는 완전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로 확정한 것이다. 경선 참여 문턱을 아예 없애, 고건 전 총리를 비롯한 누구에게나 문호를 개방했다. 완전 국민경선제는 정계 개편의 도화선인 셈이다.

여권이 추진하는 정계 개편의 성공 여부는 빅3 주자 가운데 한 명인 고건 전 총리의 행보에 달려 있다. 김근태 의장이나 정동영 전 의장측은 ‘고건 활용론’에 이심전심이다.

고 전 총리측도 단순히 끌려가지 않을 태세다. 고 전 총리측은 승차를 하더라도 차 자체를 바꿔타기를 바란다. 예전 같으면 한 발짝씩 행보가 느렸던 고 전 총리가 부쩍 ‘중도 세력 대통합’을 설파하며 행보를 반 발짝 앞서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나라당 역시 정계 개편의 무풍지대는 아니다. 민주당 합당론부터 뉴라이트 연대론까지 외연 확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 반면 내부 갈등에 따른 분화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박근혜 전 대표측이나 이명박 전 시장측 모두 “정계 개편이 일어나도 우리가 먼저 깨고 나가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입을 모은다.

정치권 전반에서 제기되는 이런 다양한 시나리오의 결론은 대선에서 자신들이 승리하는 ‘해피엔딩’이다. 하지만 그 결론을 점치기 어렵다. 정계개편론을 비롯해,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등 대선 변수가 어느 해보다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사저널>은 전문가들에게 대선 변수와 대선 관전 포인트를 물었다. 누구보다 야전 경험이 많은 여론 전문가 김능구 대표· 김형준 교수·김헌태 소장 ·박성민 대표가 관전 포인트를 정리했다. 이들은 대선과 관련한 토론회마다 러브콜을 받는 단골손님이다. 그런데 베테랑인 이들마저 내년 대선 향방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토로했다. “점쟁이도 아닌데, 대선 정국을 어찌 알겠느냐.”

전문가 네 명이 고심 끝에 내놓은 관전 포인트는 대선과 관련한 향후 정치 일정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 좋은 가이드가 될 것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