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24시] 취업 성과 돋보인 2020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
  • 김희준 영남본부 기자 (sisa522@sisajournal.com)
  • 승인 2021.01.26 15:5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상공회의소, 청년디지털일자리 및 청년내일체움공제 사업 적극 추진
부산경남미래정책 “자치구 소상공인 지원 조례 예산 편성 필요하다”
일자리 박람회 포스터 ⓒ 부산시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 홈페이지 ⓒ 부산시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는 지난해 10월12일부터 12월11일까지 2개월 동안 개최한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는 코로나19 시대 구인·구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시와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이 BNK부산은행과 협력해 새롭게 시도한 비대면 일자리 박람회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구인·구직신청, 화상 채용면접, 부대행사까지 박람회의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26일 부산시가 박람회 실적을 최종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36만명이 개인 컴퓨터와 휴대폰 등으로 접속했다. 이 중 순수 방문자(IP·단말기 접속값 기준)는 4만6000명에 달했다. 부산지역 156개 기업의 689명 구인모집에 2224명이 온라인으로 입사 지원했으며, 그중 1580명이 이력서를 등록했다.

박람회에 참가한 입사지원자 중 총 657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이 중 131명은 박람회 화상면접 등 직접지원을 통해 채용됐으며, 나머지 526명은 개별 구직활동을 통해 취업했다.

박람회 참가기업과 구직자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구인기업은 종사자 50인 미만 참가업체가 89개사로 전체 57%를 차지했다. 100~300명 미만 업체가 35개사(22.4%)로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84개사(53.8%)로 가장 많았으며, 서비스업 39개사(25%)가 다음으로 많았다. 

구직 참여자의 경우 34세 이하 청년층이 1684명(71.4%), 64세 이하 중장년 662명(28.1%), 65세 이상 노년층이 12명(0.5%) 참가했다. 세부 연령대별로는 20대가 1277명(54.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561명(23.8%), 40대 259명(11%), 60대 49명(2.1%)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지원자는 988명으로 전체 지원자 중 42%이며, 청년 여성이 728명으로 여성 지원자의 74%를 차지했다.

한편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는 대면 일자리 박람회 부대행사와 같이 실시간 질의응답 참여가 가능한 박람회 부대행사도 진행했다. 유튜브 ‘붓싼뉴스’ 생방송으로 지역 주요 지역기업들이 참여하는 채용설명회와 국가직업수행능력평가(NCS),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채용 대응 전략, 취업 준비 등에 대한 전문가 특강을 개최했다. 3회에 걸쳐 특강과 취업설명회가 열렸다. 첫 회가 방송된 지난해 10월 15일에는 총 3955건의 조회를 기록하며 회당 최다 194명이 접속해 165건의 채팅을 통한 실시간 정보 공유가 있었다. 3회 동안 조회 7960건, 최다 접속 428명, 채팅 324건을 기록했다. 

부산시는 기업의 경영·노무 컨설팅 12건과 중장년 취업 상담, 직업심리검사, 자기소개서 작성 등 구직자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화상 컨설팅 270건도 제공했다. 전국 광역지자체 최초로 개최한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는 코로나19로 변화된 환경에 대응해 비대면 박람회가 효과적으로 구인·구직을 지원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기존의 대면 박람회와 비교해 비용은 적게 투입됐으나, 방문객이 4배나 많았다. 채용 건수도 거의 대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비대면 박람회는 청년 등 모바일 친화적인 구직자들에게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구직활동과 정보를 공유하는 장을 제공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람회 구직 참가자 박아무개씨는 “코로나로 취업이 어렵겠다고 막연히 생각하고 면접 보는 것도 부담이 가던 중 실업 1개월 만에 화상면접으로 채용됐다. 코로나19 상황에 특화된 면접방법인 것 같다”고 말했다. 김아무개씨도 “화상면접은 어색했지만, 덕분에 좋은 곳에 취업했다”며 취업성공 소감을 전했다.

부산시는 구인·구직자에게 지속적인 양질의 취업지원 서비스와 안정적인 채용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올해부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를 확대하고, 상설 채용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한다. 부산일자리정보망을 중심으로 관계기관과 취업정보센터 취업지원 서비스를 연계해 온라인 상설 채용관 운영, 일자리 정보 제공, 취업지원 프로그램 제공, 지원시책 홍보와 신청 등을 한 곳에서 가능하게 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부산형 일자리 포털을 구축할 계획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부산 온라인 일자리 박람회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일자리 박람회의 전 과정을 과감히 온라인상에 구현해 취업지원 서비스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며 “부산일자리 정보망을 중심으로 산재한 취업지원 서비스를 연계해 모든 구인·구직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인·구직자들에 다가갈 수 있도록 부산형 비대면 취업지원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상공회의소 회관 사진 ⓒ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상공회의소 회관 사진 ⓒ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상공회의소, 청년디지털일자리 및 청년내일체움공제 사업 추진

부산상공회의소가 언택트 시대에 지역 기업들의 인력 수요가 증가하는 디지털·IT 분야 채용 확대와 지역 청년들의 중소·중견기업 장기근속을 위한 지원에 나선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함께 2021년도‘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을 시작하고 참여인원 및 기업을 모집한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기반 사업의 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분야의 지역기업 채용 적극지원을 위해 부산상의가 신규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IT 직무에 신규직원을 채용한 지역의 중소·중견기업은 6개월 간 최대 1140만원을 받게된다. 또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은 신규 정규직 취업청년이 중소·중견기업에 입사 후 2년간 근로자가 300만원을 적립하면 900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2016년 사업 시작 후 5년간 2850여명이 참여할 정도로 청년들의 지역 중소·중견기업 장기근속 장려 및 기초자산형성에 큰 효과가 있어 매년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 한해 사업을 통해 지원할 인원은 두 사업 모두 각 500명이며, 지원대상은 만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신규 취업 청년과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이다.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과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취업 청년 및 기업들은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신청 가능하며, 두 사업 모두 자격요건을 갖출 시에는 기업과 근로자 모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사업 참여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고자하는 기업이나 구직 청년은 부산상공회의소 일자리사업본부(051-990-7071)로 문의하면 된다.

부산상의 관계자는“코로나19로 인력수요가 늘어난 디지털·IT 직무의 채용을 지원함으로써 지역기업들의 관련 인력 수급이 원활해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 지원 사업들을 통해 지역의 청년 일자리 창출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경남미래정책 “자치구 소상공인 지원 조례 예산 편성 필요하다”

부산경남미래정책(이하 미래정책)은 지난해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개정한 10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정보공개청구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미래정책은 분석 결과 조례에 포함된 소상공인에 대한 특례보증 예산과 소상공인 단체 지원이 실제로는 편성‧확보되지 않아 추경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자체의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구의 출연금을 재원으로 해 일반 소상공인 보증에 비해 완화된 심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소상공인 단체 지원 조항 마련은 법정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 등 소상공인 단체들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미래정책은 “조례에 특례보증과 소상공인 단체 지원을 조항에 넣고도 올해 본예산에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자치구가 단 1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소상공인 지원 조례가 ‘유명무실’해지지 않게끔 구의회가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례를 만들 때부터 실질적인 지원책까지 귀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코로나19로 힘든 소상공인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일선 자치구들이 법적 근거(조례)만 만들 게 아니라 지원사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