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물가 10개월 만에 4%대 둔화…전기·가스·수도는 28%↑
  •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 승인 2023.03.06 11:0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유류·축산물 가격 내려…가공식품 상승 폭 ↑
“불안 요인 있으나 물가 둔화세 더 뚜렷해질 것”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석유류와 축산물 등의 가격 하락으로 2월 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다. 다만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1월에 이어 역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년=100)로 전월(5.2%)보다 상승률이 0.4%포인트 떨어졌다. 전년 동월보다는 4.8% 올랐다.

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7월(6.3%)을 정점을 찍은 뒤 둔화하는 모양세다. 지난해 12월에는 5.0%까지 하락했으나, 올해 1월에는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해 다시 5.2%로 올랐다. 그리고 2월 다시 4%대로 떨어지며 주춤했던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석유류와 가공식품을 포함한 공업제품은 5.1% 올라 전월(6.0%)보다 상승률이 둔화했다. 농··수산물은 1.1% 올라 전월과 상승률이 같았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5.7%로 전월(5.9%)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으며 외식이 7.5%, 외식 외 개인서비스는 4.4%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달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률이 소폭 둔화하는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는 모습"이라며 "반면 중국 경제활동 재개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움직임도 보이는 등 (향후 물가는) 여러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품목별로 보면 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에 석유류 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하락했다. 휘발유(-7.6%)와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5.6%)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석유류는 1.1% 하락했다. 경유와 등유는 각각 4.8%, 27.2% 올랐다.

반면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은 2009년 4월(11.1%)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가공식품은 10.4% 오르며 전월(10.3%)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특히 빵(17.7%), 스낵 과자(14.2%), 커피(15.6%) 등 품목의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수산물 중 축산물은 2.0% 하락했다. 축산물이 1년 전보다 하락한 것은 2019년 9월(-0.7%) 이후 3년5개월 만이다. 국산 쇠고기(-6.1%)와 수입 쇠고기(-5.2%)가 내렸으나 닭고기는 16.4% 상승했다. 

다만 농산물과 수산물은 전월보다 더 많이 올랐다. 전월 0.2% 내렸던 농산물이 2월에는 1.3% 올랐고 특히 채소류(7.4%)가 많이 올랐다. 풋고추(34.2%), 양파(33.9%), 파(29.7%) 등이다. 수산물도 전월 7.8%에서 2월 8.3%로 상승 폭을 키웠다. 

물가 상승이 전반적으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공공요금 인상 여파로 전기·가스·수도는 28.4% 급등했다. 2010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전기료가 29.5%, 도시가스료가 36.2%, 지역 난방비가 34.0%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전월에도 28.3% 상승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상수도 요금을 올리면서 2월에는 상승률이 더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8% 올라 전월(5.0%)보다 상승 폭이 작아졌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0%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랐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부문별로 불안 요인이 남아있지만 특별한 외부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 기조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면서 "주요 먹거리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도 식품 원재료 관세 인하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관련 업계도 생산성 향상 등 원가 절감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