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강한 지역, 주택자산 오히려 증가”
  • 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ejk1407@naver.com)
  • 승인 2023.07.10 15:1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부동산 상승 기대감 등으로 가격 억제되지 못해”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2017년 이후 대출 규제가 강화된 지역의 주택 자산이 규제가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오히려 더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 연합뉴스

2017년 이후 주택 관련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구 간 부채 불평등은 완화됐지만, 자산 불평등은 해소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거시건전성 정책이 가구 부채·자산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부동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의 최근까지의 주택자산 증가 폭은 이외 지역보다 9.3% 컸다.

김민수 한은 금융안정연구팀 차장은 보고서에서 "이는 조정대상지역에 대해 2017년부터 더 강한 LTV(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60% 이하)·DTI(주택담보대출비율, 50% 이하) 규제를 적용했음에도,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심리 등으로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을 억제시키지 못했다는 걸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규제가 강화된 지역의 가계부채 증가폭은 5.7%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자산별(1∼5분위)로 부채와 주택자산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규제가 엄격해진 이후 주로 자산 규모가 상위인 가구의 부채가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자산의 경우 모든 분위에서 일제히 증가했다.

김 차장은 "거시건전성 정책(대출 규제) 강화가 자산을 적게 보유한 가구의 대출 접근성을 제약해 부채·자산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며 "그러나 이번 실증적 분석에서 LTV·DTI 강화는 부채의 불평등을 완화했지만, 주택자산 불평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따라서 불평등 심화를 우려하기 전에 거시건전성 제고라는 원래의 취지에 맞게 규제를 시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도 "다만 일률적 규제 강화로 자산·소득 하위 가구와 제도권 대출 접근이 어려운 가구의 자금조달 애로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지원 대책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첨언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