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당분간 금리인하 기대말라…연말까지 상황보며 조정”
  • 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ejk1407@naver.com)
  • 승인 2023.07.14 10: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 가격 반등 속도에 따라 성장률 올라갈 수도”
“중국 경제 불확실성 커…새 성장동력 위한 구조조정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한은) 총재는 14일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얘기하기에는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금리) 내릴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며 "연말까지 상황을 보고 금리를 조정하면서 거시적으로 보겠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한은) 총재는 14일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얘기하기에는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금리) 내릴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며 "연말까지 상황을 보고 금리를 조정하면서 거시적으로 보겠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한은) 총재는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얘기하기에는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금리) 내릴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고 시장의 전망을 일축했다.  

이 총재는 14일 제주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제주포럼에 연사로 나서 "냉탕·온탕 통화정책이 왔다 갔다 하면 거시정책의 틀이 흔들린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전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많은 분이 금리를 이제부터 인하할 때가 아니냐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며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한국은행이 조심스러운 것은 기저효과 등을 생각할 때 연말까지 (물가가) 3%로 올라갈 것 같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고 예측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가 어려운 배경으로 물가와 가계부채를 꼽았다. 이 총재는 "기술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내려갈지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지켜 봐야 한다"며 "미국이 금리를 2번 정도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내리면 격차가 훨씬 커져서 외환시장이 어떻게 될까 하는 걱정도 있다"고 첨언했다.

이번 한은 금통위의 4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으로 한국(3.50%)과 미국(5.00∼5.25%)의 금리차는 1.75%포인트(p)로 유지됐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오는 2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시장의 현재 예상대로 베이비스텝(0.25%p 인상)을 밟으면 금리차는 2.00%p(한국 3.50%·미국 5.25∼5.50%)로 벌어지게 된다.

이 총재는 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추가로 "금리를 3.5%로 했더니 3개월 동안 가계부채가 늘어났다"며 "단기적으로는 어쩔 수 없지만 가계부채가 큰 것은 장기적으로 큰 부담이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떨어지면 좋겠는데 트렌드가 바뀌는 모습도 있어서 지켜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부터 금리는 빠르게 올라가지 않겠지만 올릴 것인지 아니면 더 내릴 것인지 이런 것을 고민해 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향후 경기 전망과 관련해서는 "속도가 문제지만 반등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췄다.

이 총재는 "미·중 경제가 우리 수출 양대 축인데,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성장률이 높아질 것 같아서 우리에게 좋은 뉴스"라며 "반면 중국은 불확실성이 크다. 하반기나 내년 성장이 조금 더 불확실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반도체 가격이 더 내려갈 데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얼마나 빨리 올라갈 거냐에 따라 성장률이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라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성장률을) 1.4%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앞서 산업부도 최근 공개한 '하반기 주요 산업 정책 방향'에서 삼성전자 등 메모리 기업의 감산 효과가 본격화되는 3분기부터 수급이 개선돼 10월 이후에는 반도체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관측했다.

하반기 반도체 업종 전망도 기존의 '비'에서 '흐림'으로 변경됐다. 올해 상반기 반도체 수출은 432억1000만 달러(한화 약 54조8465억원)로 전년 동기보다 37.4% 줄면서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출이 감소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총재는 "새로운 변화 성장동력을 어떻게 잡느냐는 거시 통화정책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사실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여러 이해 당사자가 이제는 바뀌어야 될 때가 됐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