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중독 상담 건수 3년 만에 58%↑…전담상담사는 연이은 퇴사 행렬
  • 이해람 인턴기자 (haerami0526@naver.com)
  • 승인 2023.09.07 10:0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려움 겪는 청소년 급증세…전담상담사는 전국 54명 뿐
불안한 고용환경, 업무 과중, 낮은 처우에 퇴직률 50% 안팎
상담 질적 저하 초래 가능성 높다는 지적…“인력 충원 절실”
ⓒ픽사베이
ⓒ픽사베이

인터넷 중독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상한 가운데 이를 전담할 상담사 숫자가 급격히 줄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22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상담 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20년 11만7370건이었던 상담 건수는 2021년 16만2126건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18만8518건까지 늘어났다. 상담 건수가 3년 만에 58% 증가한 셈이다.

상담 건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데는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외부활동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인터넷 및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이 많아졌고, 이를 고치기 위한 상담이 늘어났다는 얘기다.

인터넷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의 규모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4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정해진 이용시간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시력·자세 등에 악영향이 있는 ‘과의존 관심군’은 총 1만6699명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지난 7월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5291개 초등학교 1학년 보호자 22만988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가 초등학교 1학년 보호자만 대상으로 실시됐다는 점에서 전체 청소년으로 확대했을 경우 그 규모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 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커지자 정부와 지자체는 전담상담사를 배치해 상담과 치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인터넷 중독 전담상담사의 규모가 꾸준히 줄고 있다는 점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여성가족부는 2022년 기준 시·도 및 시·군·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근무하는 인터넷 중독 전담상담사 54명의 배치를 지원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29명이 지난해 퇴직했다. 퇴직률은 53.7%에 달한다. 2020년과 2021년의 퇴직률은 각각 37%, 66%를 기록했다.

퇴직자의 평균 근속기간도 길지 않았다. 2020년과 2021년은 각각 19개월, 2022년엔 14개월에 그쳤다. 2년을 채 넘기지 못하고 전담상담사 업무를 떠난 셈이다.

 

“상담센터 1곳이 4~5개구 담당…행정업무까지 도맡아”

인터넷 중독 전담상담사의 퇴직률이 높은 배경에는 근로 조건이 첫 손에 꼽힌다. 전담상담사는 계약직으로 채용되는데 근속 기간이 길어도 호봉 개념이 없기 때문에 임금이 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불안한 고용환경과 높지 않은 임금이 퇴사의 이유로 작용하는 것이다.

과중한 업무도 퇴사를 고려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일선 현장에선 말한다. 인터넷 중독 전담상담사는 상담뿐만이 아니라 각종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부모님들을 설득하고 이들을 직접 교육할 뿐 아니라 예산 관리 등 행정 업무까지 떠맡아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관련 상담센터를 6곳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중독 전담상담사는 4명에 불과하다. 전담상담사 이아무개씨는 “상담사가 상담 업무보다 행정 업무를 많이 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상담센터 1곳이 4~5개구를 담당하는 것도 과중한 업무의 원인”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경험을 쌓아 더 좋은 상담사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하지만 현재 구조로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퇴직률이 높다보니 꾸준한 상담과 치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이씨의 의견이다. 그는 “매년 새로운 상담사가 입사하다보니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회예산정책처도 “상담사의 잦은 이직은 상담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며 “상담사의 이직을 초래하는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해 대처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김희주 시립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부장대행은 “행정 직원들은 행정에, 상담사들은 상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력이 충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도 해법을 고안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여가부 관계자는 “(처우 개선을 위한) 방법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