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행복지수 OECD ‘최하위’ 낙제점 이유는?
  • 송응철 기자 (sec@sisajournal.com)
  • 승인 2021.05.19 13: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악한 근무‧생활환경…노인 빈곤도 영향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국의 행복지수 순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에 따르면, 한국의 2018∼2020년 평균 국가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5.85점이었다. 이는 전체 조사 대상 149개국 중 62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국가 행복지수는 유엔(UN)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국가별 국내총생산(GDP)과 기대수명, 사회적 지지 등을 바탕으로 집계한다.

비교 대상을 OECD 37개 회원국으로 좁히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35위로 최하위권이었다. 한국보다 점수가 낮은 OECD 국가는 그리스(5.72점)와 터키(4.95점)가 전부다. OECD 회원국 중 국가 행복지수 순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4점)이었고, 덴마크(7.62점)와 스위스(7.57점), 아이슬란드(7.55점), 네덜란드(7.46점)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5.94점)은 근소한 차이로 한국을 앞섰다.

한국의 낮은 행복지수는 열악한 근로환경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지난 2019년 기준 한국 근로자의 평균 근로시간은 1967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멕시코(2137시간) 다음으로 가장 길었다. 한국 근로자들은 OECD 회원국 평균(1726시간)보다 연간 241시간을 더 일한 셈이다.

생활환경도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지난 2019년 기준 국내 미세먼지 농도는 27.4마이크로그램(㎍)/㎥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이는 OECD 평균치(13.9㎍/㎥)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노인 빈곤도 삶의 질을 낮추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고령화 속도가 OECD 최고 수준인 한국은 노인 빈곤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2020년 국내 연평균 고령인구 증가율은 4.4%로 OECD 평균(2.6%)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노인 빈곤율은 2018년 기준 43.4%로 OECD 평균(14.8%)의 3배에 달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