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바뀌고 있다” 하루만에…강감찬함 일병 극단적 선택
  • 유경민 디지털팀 기자 (wbql1214@naver.com)
  • 승인 2021.09.07 12: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임병 구타·따돌림 때문…지휘관들 방치”
“함장, 피해자 자해 시도하자 가해자에 사과하게 해”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해군 강감찬함 소속 일병 사망 사건과 관련한 기자회견문을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해군 강감찬함 소속 일병 사망 사건과 관련한 기자회견문을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해군 구축함 강감찬함 소속 일병이 군대 내 폭언과 따돌림 등으로 고통을 받다가 극단적 선택을 했는데 그 배경에 간부들의 방치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방부가 군대 내 가혹 행위를 묘사한 넷플릭스 드라마 《D.P.》와 관련해 “바뀌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지 하루 만이다.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는 7일 오전 10시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6월18일 해군 강감찬함에서 선임병 등으로부터 구타, 폭언, 집단따돌림을 겪은 정아무개 일병이 휴가 중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올해 2월1일 강감찬함에 배속된 정 일병이 아버지 간호를 위해 청원 휴가를 다녀온 뒤부터 선임병들은 “꿀을 빤다” “신의 자식”이라며 그를 따돌리기 시작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격리로 정 일병은 3월9일 이후 복귀했다.

갑판병이던 정 일병이 3월16일경 근무 중 실수를 하자 선임병 A와 B는 가슴과 머리를 밀쳐 갑판에 넘어뜨렸다고 알려졌다. 정 일병이 일어나자 이들은 그를 다시 밀쳐서 넘어뜨리고 정 일병이 “제가 어떻게 해야 됩니까”라고 묻자 “뒤져버리라”고 대답했다. 군인권센터는 “선임병들이 정 일병을 앉혀놓고 갈구거나 욕설하고, 자리에서 일어나면 다시 밀쳐서 앉히는 등 폭행을 하기도 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정 일병은 3월16일 함장에게 선임병들의 폭행, 폭언을 신고했으나 함장은 피해자와 가해자를 분리시키지 않고 승조원실을 이동하고 보직을 변경하기만 했다고 알려졌다. 정 일병은 함내에서 가해자들과 계속해서 마주쳤던 것으로 전해진다.

8월13일 오전 부산 남구 해군작전기지에서 출항을 앞둔 청해부대 30진 강감찬함이 정박해 있다. ⓒ 연합뉴스
8월13일 오전 부산 남구 해군작전기지에서 출항을 앞둔 청해부대 30진 강감찬함이 정박해 있다. ⓒ 연합뉴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정 일병은 3월26일 자해 시도를 하다 함장에게 연락해 구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그런데 함장은 정 일병에게 가해자들을 불러 사과 받는 자리를 갖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하며 가해자들을 불러 대화하게 했다는 게 군인권센터 측 설명이다.

심리적 고통을 겪던 정 일병은 구토, 과호흡 등 공황장애 증상을 보였고 이후 정신과에 입원했다. 군인권센터는 “6월8일 (정신)병원에서 퇴원한 정 일병은 퇴원 후 7월2일까지 휴가를 받았다”며 “가족들은 당시 정 일병이 눈에 띄게 살이 빠져있었고 살갑던 예전 모습과는 달리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기조차 어려워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정 일병의 사망 후에도 해군3함대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군인권센터는 “해군 3함대는 함 내 관계자들의 신상을 확보하기는커녕 정 일병 사망으로부터 열흘이 지난 6월 27일 함장, 부장 등을 인사조치 없이 그대로 청해부대로 보내버렸다”며 “이로 인해 함장, 부장 등 주요 수사 대상자들은 아직도 제대로 된 조사를 받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해군은 즉시 정 일병을 죽음으로 몰고 간 가해자들의 신상을 확보하고 강감찬함 함장, 부장 등을 소환해 수사하라”며 “지지부진한 수사 역시 해군본부 검찰단으로 이첩해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수사를 촉구했다.

해군은 군인권센터의 폭로에 “현재 사망원인과 유가족이 제기한 병영부조리 등에 대해 군 수사기관에서 수사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