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기업체 4분기 경기, 긍정적 전망 속 ‘채산성’ 우려 여전
  • 이상욱 영남본부 기자 (sisa524@sisajournal.com)
  • 승인 2021.09.28 15: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년 4분기 창원지역 기업경기전망조사…100.7로 전 분기 비해 5.3포인트 하락
전망BSI와 실적BSI, 큰 폭 차이

경남 창원지역 제조업체의 4분기 경기 전망이 3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 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상공회의소는 ‘2021년 4분기 창원지역 기업경기전망조사’를 진행한 결과, 4분기 경기전망지수(BSI)가 100.7로 전 분기보다 5.3포인트 하락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일부터 12일까지 153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창원국가산업단지 전경. ©창원시
창원국가산업단지 전경. ©창원시

전망BSI는 매출과 생산량 증가로 1분기(93.8) → 2분기(105.1) → 3분기(106.0) 등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올해 3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나타난 실적BSI는 기준치를 밑돈 ‘79.1’로 조사돼 3분기 전망BSI(106.0)와 비교적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기존 채산성 악화가 현실화된 것이다. BSI는 기업 체감경기를 뜻하는 것으로,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뜻한다. 100미만이면 그 반대다.

전망BSI를 항목별로 보면 매출액(112.1)과 사업장가동(102.6), 설비투자(101.3) 부문은 기준치를 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91.5)과 자금조달여건(90.8), 공급망안정성(94.7) 부문은 기준치 이하다. 창원상공회의소는 “다수 기업이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과 임금상승, 해상물류비 상승, 반도체 수급 애로 등으로 부품·원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게다가 금리 인상 기조 등에 따른 금융비용까지 증가하면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중장비’(125.0), ‘선박·해양’(117.4), ‘자동차’(109.1), ‘공구·원자재’(104.2), ‘공작기계’(103.1) 등이 4분기 긍정적인 전망을 보였다. 반면 ‘광학·정밀기기’(87.5), ‘가전제품’(71.4), ‘발전설비’(72.2) 등은 부정적이었다. 규모·매출 형태별 전망을 보면 상시 근로자수 ‘300인 이상’ 기업(131.8)과 ‘수출 위주’ 기업(105.7)은 4분기를 긍정적으로 예상했지만, ‘300인 미만’ 기업(95.4)과 ‘내수 위주’ 기업(99.2)은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올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에 ‘환율·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35.1%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내수시장 침체’(29.2%), ‘미·중 갈등 등 보호무역주의 심화’(12.5%), ‘금리 인상 기조’(12.1%), ‘대출기한 만료 등 자금조달 여건 악화’(6.2%), ‘본격적인 대선정국으로 인한 경제 이슈 소멸’(2.3%) 순이었다.

매출 형태별로 ‘수출 위주’ 기업은 ‘환율·원자재 변동성’(35.8%)과 ‘미·중 갈등 등 보호무역주의 심화’(23.9%)를 가장 많이 꼽았다. ‘내수 위주’ 기업은 ‘환율·원자재 변동성’(34.9%)에 이어 ‘내수시장 침체’(31.9%)로 답했다.  

창원상공회의소는 “환율과 원자재가격의 높은 변동성이 가장 큰 대내외 리스크로 꼽힌 것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창원 제조업의 특성(무역의존도 76.9%)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율 상승은 수출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부품·원자재 수입 후 가공·조립을 거쳐 납품하는 업체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환율·원자재 가격 변동성은 수출기업뿐 아니라 내수기업에도 중요한 이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업활동에 변화가 있었는지 질문에 응답 업체의 66.7%가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이 중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93.7%가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고, ‘300인 미만’ 기업은 61.5%가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창원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올해 들어 점진적인 수주량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원자재가격 상승과 주 52시간 확대 적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높아지면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이 연중 이어져 오고 있는 만큼 금융지원을 비롯한 기업지원정책을 꾸준히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