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에 나란히 강성 노조…전기차 전환 변수?
  • 송응철 기자 (sec@sisajournal.com)
  • 승인 2021.12.27 14: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사태와 반도체 수급난에 노조 리스크까지
ⓒ연합뉴스
ⓒ연합뉴스

현대차와 기아차에 나란히 강성 노조 지도부가 들어섰다. 코로나19 사태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등으로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노조 리스크’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다. 여기에 현재 진행 중인 전기차 전환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금속노조 기아차지부 지부장에 홍진성 후보가 당선됐다. 그는 기아차 노조 내부에서도 강성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2000년 기아차에 입사한 홍 당선인은 2006년 미군기지 이전 반대 투쟁을 벌여 구속된 전력이 있다. 이후 민주노총 대의원, 금속노조 중앙위원, 기아차지부 대의원 및 운영위원 등을 거쳤다.

앞서 현대차 노조의 경우 지난 8일 안현호 후보가 지부장에 당선되며 강성 집행부가 들어선 상태다. 그는 1998년 정리해고 투쟁 당시 현대모비스(당시 현대정공) 노조 위원장으로 현대차 노조와 연대 총파업을 이끈 인물이다. 2007년에는 현대차 성과급 관련 시무식 난동 사건으로 구속된 전력도 있다.

양대 주력 계열사에 강성 노조 집행부가 들어서면서 현대차그룹 노사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특히 올해 들어 간부로 구성된 ‘사람존중 간부사원 노동조합’과 MZ세대 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무·연구직 노조가 새로 출범한 상황이어서 현대차그룹은 더욱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의 노조 리스크가 현재 진행 중인 전기차 전환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를 전기차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전용 전기차 모델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2026년 전기차 글로벌 연간 판매 목표를 기존 100만 대에서 170만 대로 상향 조정했다. 또 2026년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13개 차종으로 늘린다는 목표로 생산 설비 구축 등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문제는 전기차 전환을 위해서는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서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전동화 등 연구·개발(R&D) 인력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치열한 연구·개발 인력 영입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반면 생산직에 대해서는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부품 수가 30∼40% 정도 적은 만큼 생산 공정에도 비교적 적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네럴모터스(GM)와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공격적인 생산직 인력감축을 벌이고 있는 이유다.

현대차·기아는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년퇴직에 따른 자연감소로 전기차 전환기에 대처하겠다는 기조다. 그러나 현대·기아차 생산직 노조에서는 위기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홍진성·안현호 당선인이 모두 고용안정과 일자리 감축 반대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점도 이런 상황을 의식한 결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