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D-3…“학교 보내야 하나” 학부모 의견 ‘극과 극’
  • 안수교 디지털팀 기자 (hongsalami@naver.com)
  • 승인 2022.02.27 17:0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등교-원격 병행 등 학교별 제각각…오미트론 확산에 학부모·학교 근심
정부, ‘3% 확진, 15% 등교중지’ 탄력 적용 “가급적 ‘정상 등교’ 한다는 원칙”

정상등교 방침을 고수하던 교육당국이 오미크론 유행을 이유로 개별 학교가 등교 형태를 결정토록 하면서, 각 학교가 학부모 설문조사 등을 통해 수업 방식을 결정하고 있다. 이에 정부의 헷갈리는 방역정책이 학교 현장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상당수 초등학교가 ‘전 학년 매일 등교’, ‘1, 2학년 매일 등교와 3∼6학년 등교·원격 수업 병행’, ‘1, 2학년 매일 등교와 3∼6학년 원격수업’의 세 가지 방안을 놓고 학부모들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1학년 신입생들은 매일 등교하고 나머지 2개 학년이 번갈아 등교하는 밀집도 3분의 2 수준의 조정안과 전체 매일 등교 안을 두고 결정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학부모들의 의견이 전면 등교부터 전면 원격수업까지 ‘극과 극’으로 엇갈리고 있다. A초등학교는 설문조사에서 ‘전 학년 전면 등교’가 약 40%, ‘1, 2학년 전일 등교 및 3∼6학년 주 3일 등교’ 약 30%, ‘1, 2학년 등교 및 3∼6학년 원격 수업 약 30%’의 결과가 나오자 3∼6학년 등교-원격 병행으로 결정했다. 한 학부모는 “등교·원격수업 병행에 투표했다"며 "당연히 아이가 매일 등교하기를 바라지만, 동네에서 확진된 아이들이 계속 나오고 있어 한나절 30명이 모여 있는 교실에 매일 보내는 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반면 B초교는 전면 등교 희망자가 전면 원격 수업 희망자의 두 배 가까이로 드러났다. 이에 전면 등교를 결정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 학교 교장은 “방학 기간 돌봄교실에서도 확진자가 나왔고 교사 확진도 발생하고 있어 개학 후가 많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전국적으로 전면 등교가 정해졌을 때 환영했던 학부모들도 오미크론 유행이 거세지자 근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5학년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주위에 온라인 수업을 싫어하는 엄마들이 많지만, 우리집은 작년 주 3일 등교, 주 2일 온라인 수업도 만족스러웠다”며 “원격수업 병행에 투표했는데, 학교에서는 전면등교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반면, 전면등교를 희망하는 학부모도 많다. 낮에 아이를 돌보기 어려운 맞벌이 가정도 그렇지만, 엄마가 전업주부인 가정에서도 “어른들도 외출을 다 하면서 학교만 못 가는 상황은 이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정부의 헷갈리는 방역정책이 학교 현장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씨는 “지금 방역 정책이 이해가 안 된다”며 “이렇게 확진자가 많이 나오는 상황에서 아이들 개학 일정이 있는데도 술집, 노래방 영업시간을 왜 늘리는 건지 화가 많이 난다”고 지적했다. 6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이모씨도 “정부는 오미크론이 별로 위험하지 않아 방역을 계속 완화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한편으로는 소아, 청소년 확진자가 늘어나 위험하다는 통계를 내보낸다”며 “원격수업도 가능하면 하지 말라고 했다가 이제 또 할 수 있다고 얘기하고 헷갈린다”고 말했다.

개학 준비에 분주하게 움직이는 학교들은 개학 후 혼란을 우려하고 있다. 각 학교는 교육지원청으로부터 전달받은 주 2회 분량의 자가 키트를 학년·학급별로 배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여러 학교가 등하교 동선을 분산시키고 효율적으로 발열 체크를 하기 위해 학년별로 출입구를 나눠 등교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발열 감지기를 새로 각 교실에 설치한 학교도 있다. 교사 확진에 대비·대응해 대체 강사 확보에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교육 당국은 ‘새 학기 적응주간’에도 ‘3% 확진, 15% 등교중지’라는 지표를 좀 더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일 뿐이며 가급적 ‘정상 등교’를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3월에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이 될 우려가 있으니 그런 지역에서는 수업 시간이나 밀집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더 준 것이고, 큰 틀에서 등교 원칙이 맞는다”며 “학생 수가 1000명 넘는 학교부터 200∼300명인 학교까지 모두 달라 공통된 기준으로 정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개학을 앞두고 방역 중인 교실 모습 ⓒ연합뉴스
개학을 앞두고 방역 중인 교실 모습 ⓒ연합뉴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