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싣기’냐 ‘견제’냐…尹정부·與野 명운 걸렸다
  • 이혜영 디지털팀 기자 (zero@sisajournal.com)
  • 승인 2022.06.01 11: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 승리시 ‘국정 탄력’ vs 野 승리 땐 ‘반등 출발점’
여야 권력 지형 변화 불가피…안철수·이재명 행보 주목
윤석열 대통령이 6·1 지방선거를 하루 앞둔 5월31일 부산 중구 자갈치 시장을 방문,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6·1 지방선거를 하루 앞둔 5월31일 부산 중구 자갈치 시장을 방문,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정부의 집권 초 국정 운영과 여야의 운명을 가를 제8회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보궐선거 투표가 1일 오전 6시부터 전국 1만4465곳 투표소에서 시작됐다. 

일반 유권자와 코로나19 확진자 투표까지 완료되면 광역자치단체장 기준으로 이르면 자정께 당선자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경기도 등 접전 지역에서는 이보다 늦은 2일 새벽 3시께 당락이 가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6·1 지방선거는 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84일 만, 윤석열 정권 출범 기준으로는 22일 만에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다. 지난 대선의 연장전 성격을 띠면서 동시에 집권 초반 정국 향배를 가를 분수령으로 꼽힌다.

특히 수도권 등지에서 여야의 거물들의 '빅매치'가 성사된데다,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는 국민의힘 안철수·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동시 출격하면서 중량감이 더 커졌다. 전국 최대 표밭인데다 초접전 지역인 경기도는 선거 전체 승패를 판가름 낼 핵심 승부처로도 꼽힌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6·1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31일 저녁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6·1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31일 저녁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여당으로서 치르는 첫 선거에서 '안정론'을 들고 반드시 승리해 정권 초기 국정 동력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광역단체장 기준 과반인 9곳의 승리를 1차 목표로 하면서 내심 두 자릿수 차지를 기대하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견제론'을 내세워 지난 대선 패배를 설욕하고 차기 정권 교체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5~6곳 승리를 '선방'의 기준으로 잡는 가운데 접전 지역에서 선전한다면 7곳 확보도 가능하지 않겠냐는 분위기다.

이번 선거는 새 정부 출범 초기 국정 동력과 여야 대치 정국 및 각 당내 권력 지형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만약 이번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이긴다면 윤석열 정부는 더욱 강한 국정 드라이브를 걸 수 있게 된다. 국민의힘도 수적 열세를 딛고 원구성 협상 등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5월31일 서울 용산역광장에서 열린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의 마지막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5월31일 서울 용산역광장에서 열린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의 마지막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민주당이 선전할 경우 야당의 정권 견제론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된다. 법제사법위원장 등 원내 협상에서도 강경 태도로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선거 이후 양당의 권력 지형 변화도 뒤따를 전망이다. 어느 쪽이든 패배하는 쪽은 지도부 총사퇴 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성상납 의혹'으로 윤리위 징계 절차가 시작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선거 이후 향후 거취에 대한 여러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대선 패배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인 민주당은 '2연패' 할 경우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계파, 세대 간 갈등이 더욱 뚜렷하게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차기 대권 주자이자 당권 주자로도 꼽히는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과 이재명 민주당 상임고문의 국회 입성 여부 역시 주요 관전 포인트다. 만일 안 전 위원장과 이 상임고문 중 지방선거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향후 정치 생명에도 치명타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