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 상반기 취업자 증가세…장기적으로는 둔화할 것”
  • 이현지 디지털팀 기자 (fyz6337@naver.com)
  • 승인 2022.08.04 14:4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확산에 일자리 전망 불확실해져
7월20일부터 서울 중구 청년일자리센터에 청년일자리 매칭강화 전담창구가 운영되고 있다. 이 창구에서는 연말까지 만 15∼39세 서울시 청년 구직자 1000여 명에게 기업 연계나 채용 정보 제공, 기업 탐방 등 맞춤형 취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합뉴스
7월20일부터 서울 중구 청년일자리센터에 청년일자리 매칭강화 전담창구가 운영되고 있다. 이 창구에서는 연말까지 만 15∼39세 서울시 청년 구직자 1000여 명에게 기업 연계나 채용 정보 제공, 기업 탐방 등 맞춤형 취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가 청년층·고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취업자수 증가 추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일시적 대면소비 증가에 따른 역기저 효과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탓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의 송상윤 과장·배기원 조사역은 4일 ‘최근 취업자 수 증가에 대한 평가’(BOK 이슈노트)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회복세를 넘어 팬데믹 이전(2015~2019년) 추세를 상회했다. 노동 공급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 증감분 중 노동 공급의 기여도는 약 63.4%로 높았다. 1분기 58.5%에서 2분기 69.2%로 기여도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연령별로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60세 이상)의 노동 공급이 크게 확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은 여성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늘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의 취업자 수 증가분의 67.5%가 여성 취업자 수에 기인했다.

업종별로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IT산업에서 사무직이 증가했다. 간호사 등 보건복지 전문가와 음식·숙박업 임시직 일자리도 늘었다.

고령층 취업자 수는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생산·현장직(제조·건설업 현장직, 청소·경비직), 농림어업직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송상윤 과장은 “소규모 사업체 생산·현장직 증가는 고령층에서만 나타났는데, 이는 해당 부문의 노동 수요 증가와 여타 연령대의 중소기업 생산·현장직 기피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자리 정책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고령층 취업자 수 증가분 중 공공행정·보건복지 초단기 일자리(주당 15시간 이하) 증가분 비중은 올해 1~2월 19.8%에서 3~6월 5.9%로 줄었다.

보고서는 “노동 공급과 수요의 동반 확대, 상용직(계약기간 1년 이상) 중심의 취업자 수 증가, 대면서비스업의 점진적 회복 등을 볼 때 단기적으로는 취업자 수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는 생산 대비 다소 가파른데다 일시적 대면 소비 증가에 따른 음(-)의 기저효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경기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현재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