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1조’ 투입된 재난안전통신망, 무용지물이었다
  • 박선우 객원기자 (capote1992@naver.com)
  • 승인 2022.11.04 12: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무조정실장 “관련 훈련 부족했던 듯”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사고' 수습상황 및 향후 계획 등 중대본 회의 주요 논의사항을 브리핑하고 있다. 오른쪽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연합뉴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사고' 수습상황 및 향후 계획 등 중대본 회의 주요 논의사항을 브리핑하고 있다. 오른쪽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규모 재난 사태에 대비하고자 1조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이번 이태원 압사 참사 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훈련 부족”을 이유로 들었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4일 정부세종청사서 진행된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서 경찰,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 간 소통을 위한 ‘4세대(PS-LTE) 무선통신기기’가 활용되지 않았다는 지적에 관해 “지금까지 조사한 바로는 사실”이라면서 “이런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 관련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김성호 행전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또한 “재난안전통신망은 기관 간 사고 현장에서의 통화가 주요한 목적”이라면서 “버튼만 누르면 통화 그룹에 포함돼 있는 기관들이 다 연결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가 돼 있는데, 이번에는 그 부분이 제대로 작동이 안된 부분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본부장은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한 기관 내 소통은 원활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관 안에서의 통화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원활하게 이뤄졌다”면서 “가령 경찰의 경우 1500명, 1500대의 단말기가 현장에 있었고 그 1500대가 동시에 통화할수도 있고, 13개 그룹으로 나눠 그룹별 통화가 이뤄졌다”고 부연했다.

또한 “재난안전통신망에 문제가 있다거나, 통화가 안됐다던가 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도 “다만 유관기관 간 통화를 해야 되는데 그룹으로 묶어놓은 부분들을 사용 안했다는 그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본부장은 재난안전통신망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선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면서 “관련 훈련들도 하고 있는데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추정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