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분리, 나주 반발 확산…지역갈등 불씨되나
  • 정성환 호남본부 기자 (sisa610@sisajournal.com)
  • 승인 2023.02.03 12: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5년 통합했으나 재분리 의견 불거져…전남정치권 찬반 팽팽
연구원 위치한 나주시 반대 입장문 이어 시의회 반대 결의안 채택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에 대해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 정치권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다. 일부 전남도의원들이 군불을 때고 새 원장 공모 절차가 중단되면서 분리론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연구원이 위치한 나주 지역의 반발도 확산하고 있다. 현재 광주전남연구원은 전남 나주 빛가람동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에 대해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 정치권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다. 일부 전남도의원들이 군불을 때고 새 원장 공모 절차가 중단되면서 분리론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연구원이 위치한 나주 지역의 반발도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전남연구원 현판 ⓒ시사저널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에 대해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 정치권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다. 일부 전남도의원들이 군불을 때고 새 원장 공모 절차가 중단되면서 분리론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연구원이 위치한 나주 지역의 반발도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전남연구원 현판 ⓒ시사저널

전남 나주시의회는 2일 임시회를 열고 광주전남연구원 재분리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시의회는 결의안에서 “지금은 지자체 간 초광역적인 협력, 상생과 통합 등을 통해 지방 살리기에 나서야 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연구원은 분리가 아닌 지원을 통해 규모와 위상을 확대하고 광주전남의 미래 청사진을 내놓는 연구기관으로 키워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앞서 윤병태 나주시장은 지난 1월 31일 광주전남연구원 재분리 논쟁에 따른 입장문을 내고 “광주와 전남의 상생 발전을 염원하는 시도민의 합의 정신을 후퇴시키는 것”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윤 시장은 “현재도 출연금과 연구인력이 충분하지 않은 연구원이 다시 분리되면 본연의 정책연구보다는 단순 용역기관으로 전락한다”며 “2016년 시의회 동의를 얻어 빛가람혁신도시에 연구원 청사 신축을 위한 부지를 이미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재태 전남도의원도 1일 도의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광주전남연구원 분리는 광주와 전남의 상생정신을 훼손하는 직격탄이다”며 “그간의 기능과 역할에 문제가 있다면 조직진단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한 후 운영 혁신안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재분리에 반대했다. 

나주시의회는 2일 임시회를 열고 광주전남연구원 재분리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나주시의회
나주시의회는 2일 임시회를 열고 광주전남연구원 재분리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나주시의회

광주지역 시민단체들도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기우식 참여자치21 사무처장은 “분리 논란이 발생하는 건 광주전남연구원이 독립적인 연구기관으로서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면서 “지자체장의 정책 방향과 입맛에 맞추고, 학자적 양심에 따라 연구할 수 있는 독립성을 보장해 주지 않기 때문에 기능과 역할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주섭 광주경실련 사무처장도 “광주전남연구원이 현재 어떤 상황인지 진단이 필요하다”면서 “정확한 분석도 없이 분리해야 한다는 건 섣부른 것”이고 “지자체장의 성향에 따라 분리되고 합해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최근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민선 6기 당시 통합된 광주전남연구원을 재분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경선(민주당·목포 5) 전남도의회 부의장과 신민호(민주당·순천6) 기획행정위원장, 박종원(민주당·담양1) 예결위원장 등은 연구원 재분리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며 여론 확산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자유발언을 통해 도시 행정을 주로 하는 광주시와 농어촌 중심인 전남도의 지역 특성에 맞는 공동 연구 수행이 쉽지 않다며 분리론을 펴왔다.

재분리 논의가 불붙자 연구원은 다음 달 24일 3년의 임기가 끝나는 박재영 원장의 후임 공모절차를 중단한 상태다. 연구원 재분리는 19명으로 구성된 이사회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의결한 후 시·도의회가 관련 조례를 개정하는 절차를 밟으면 된다.

연구원의 재분리 문제는 지난해 10월 강기정 광주시장이 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분리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공개 발언한 것을 계기로 촉발됐다. 지난해 10월 열린 광주시의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박수기 의원의 질의에 강 시장이 보충 답변하는 과정에서다.

이날 강기정 시장은 “광주·전남 상생 차원에서 그동안 통합 운영해 왔는데, (통합 운영이) 과연 방향이 맞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발언했다. “용역 과제와 광주시의 예산이 투입되는 연구사업 등에 대한 개발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1991년 전남발전연구원으로 출범한 뒤 1995년 광주시가 출연하면서 광주전남발전연구원으로 통합 운영돼오다 2007년 분리됐다. 이후 8년 만인 2015년 재통합되면서 민선6기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의 광주·전남 18개 상생발전 의제 가운데 첫 번째 결실을 맺은 1호 사업이다.

그러나 최근 광주전남연구원이 전남지역의 고유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에 한계가 있다는 게 분리론의 논거로 전남도의원들 사이에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새 원장 공모 절차도 중단되면서 분리론에 힘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15년 통합 당시 ‘상생’이라는 논리를 내세웠다가 최근엔 “각각의 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 마련”을 재분리 논거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도가 연간 35억 원씩 분담하는 연구원 출연금은 대전세종연구원 90억 원, 인천연구원 114억 원, 대구경북연구원 86억 원보다 매우 적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핵심인력인 연구원도 다른 지자체의 절반 정도인 38명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