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위험 키우는 ‘살인 먼지’ [오윤환의 느낌표 건강]
  • 오윤환 중앙대광명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23.04.22 16:05
  • 호수 17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신체활동 강도와 지속 시간 조정해야 

미세먼지가 연일 극성이다. 특히 기승을 부리는 황사는 몽골·중국 북부·카자흐스탄 사막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포함한 다양한 오염 혼합물이다. 이로 인한 한국의 대기오염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2019년 세계대기질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초미세먼지 수치가 세계에서 10번째였고,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4.8μ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연간 한도 10μg/㎥의 2배 이상이다. 

미세먼지는 호흡기 및 폐 질환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엔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과 같은 심혈관질환을 유발한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국내 연구들에 따르면 미세먼지 노출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최대 30%까지도 증가한다. 미세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 나뉘는데, 초미세먼지 입자는 크기가 작아 폐와 혈류 깊숙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심혈관 건강에 더 영향을 준다. 더 심각한 염증, 산화 스트레스 및 내피 기능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미세먼지 입자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세먼지는 상기도 증상과 천식을 악화시키는 등 호흡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가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데는 크게 5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산화 스트레스다. 미세먼지를 흡입하면 그 입자가 체내에서 활성산소를 생성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는 DNA·단백질·지질과 같은 세포 구성 요소에 손상을 주어 심혈관질환의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 두 번째로는 전신 염증 반응이다. 미세먼지는 폐에서 염증 반응을 유발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을 분비하게 만든다. 이런 염증 매개물은 죽상동맥경화반이 생기기 쉽게 한다. 

세 번째로는 혈관 내피세포 기능 장애다. 미세먼지는 혈관 내부 표면을 감싸고 있는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내피세포 기능 장애가 생기면 혈관의 확장 능력이 떨어지고 염증이 잘 발생하므로 이에 따라 죽상동맥경화반 형성이 촉진된다. 네 번째는 자율신경 조절 능력 장애다. 미세먼지는 교감신경을 활성화하는 등 자율신경 기능 변화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부정맥 등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으로는 미세먼지가 직접 몸에 해를 입히는 경우다. 일부 초미세입자(직경 0.1마이크로미터 미만)는 폐 조직을 통과해 혈류로 직접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혈액 성분과 상호 작용해 혈소판을 활성화하고 응집을 유발해 혈전이 생기도록 유도함으로써 경색이나 색전증을 일으킨다. 

ⓒ시사저널 박정훈
ⓒ시사저널 박정훈

미세먼지 많을 땐 KF94 마스크 착용 필요

이런 위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활동 지역의 공기 질이나 미세먼지 수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규칙적인 외부활동을 하되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신체활동 강도와 지속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 최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가 높은 상황에서 평소 운동을 안 하던 사람이나 중강도 운동을 하던 사람이 고강도 운동을 하면 오히려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 보고됐다. 하지만 미세먼지로 인해 운동을 중단하는 경우 오히려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높아지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오염이 심한 날에는 창문과 문을 닫고 외출 시에는 마스크(KF94 또는 동급)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미세먼지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위험은 분명하다. 이러한 문제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이나 정책 관련자 모두에게 중요하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