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포격, ‘한반도 화약고’ 7㎞ 근접…“또 무력화 나설 가능성”
  • 조유빈 기자 (you@sisajournal.com)
  • 승인 2024.01.07 12:1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6일 연이어 서북도서 인근 사격…NLL 북쪽 7㎞까지 포격
‘해상 완충구역’ 포탄 낙하 1년 1개월만…총선 앞두고 긴장 수위 높여
서북도서부대 해상사격훈련 ⓒ국방부 제공
서북도서부대 해상사격훈련 ⓒ국방부 제공

북한이 지난 5일 서해 최북단 서북도서 인근 이북 지역에서 쏜 포탄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쪽 7㎞까지 근접했던 것으로 7일 확인됐다. 북한의 연이은 포 사격은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군사적 긴장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인 것으로 해석된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지난 5일 백령도 북방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해안포 위주로 200여 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 북한은 서해 NLL 방향으로 사격했고, 발사된 포탄은 대부분 해상 완충구역에 낙하했으나 NLL 이북 7㎞까지도 근접했다.

9.19 남북군사합의로 사격 및 기동 훈련이 금지된 해상 완충구역에 북한군 포탄이 낙하한 것은 2022년 12월 이후 1년 1개월만이다. 이에 대응해 서북도서에 있는 해병부대는 K9 자주포와 전차포 등을 동원해 대응사격을 했다. 우리 군이 발사한 포탄도 서해 완충구역에 낙하했다.

북한군은 전날에도 연평도 북서방 개머리 진지에서 방사포와 야포 위주의 사격을 60여 발 실시했다. 이 중 일부는 서해 NLL 이북 해상 완충구역에 낙하했다. 전날 북한군의 사격은 대체로 북한 내륙 방향 혹은 측방으로 실시됐다. 서해 NLL 방향으로 실시된 5일 사격에 비해 덜 위협적인 것으로 평가돼, 우리 군은 이에 대한 대응 사격에는 나서지 않았다.

우리 군은 앞으로 북한군의 포탄이 NLL 남쪽으로 넘어오거나 NLL에 근접했을 때만 대응 사격을 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지난해 11월23일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이후, 군사합의로 파괴된 최전방 감시 초소(GP) 복원,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재무장, 해상 완충구역 내 사격 재개 등 합의 위반 행위를 계속하면서 해당 군사합의는 무력화됐다는 게 군 당국의 입장이다.

북방 한계선과 서해 해상경계선 ⓒ연합뉴스
북방한계선(NLL)과 서해 해상경계선 ⓒ연합뉴스

북한이 서해 NLL 인근에서 포 사격을 재개한 것이 군사적 긴장 수위를 끌어올려 4월 총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노동당 연말 전원회의에서 “남조선 전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에 계속 박차를 가해 나가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국무위원장은 이튿날 주요 지휘관들을 소집해 남북 무력 충돌을 기정사실로 하는 등 대남 군사적 위협 수위를 높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북한이 정면 대결의 실천 의지를 과시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북한이 유사시 백령도와 대청도, 연평도 등 서북도서를 점령, 초토화하기 위한 훈련을 시작한 것”이라며 “미국이 올해 대선 국면에 들어가 국제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을 이용해 북한이 핵 보유 자신감을 바탕으로 다시 서해 NLL 무력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서해 NLL 인근은 북한의 대형 국지도발이 자주 발생한 지역으로, ‘한반도의 화약고’라 불린다. 제1차 연평해전(1999년), 제2차 연평해전(2002년), 대청해전(2009년), 천안함 폭침(2010년 3월), 연평도 포격 도발(2010년 11월) 등이 발생한 바 있다.

북한은 NLL이 6·25 전쟁 정전협정 체결 이후 유엔군 사령관이 쌍방 합의없이 선포한 해상 경계선이라며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서해 NLL 남쪽으로 자신들이 그은 ‘서해 경비계선’이 기준이라고 주장하면서 무력화 시도를 이어오고 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