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실기업 4255곳…5년 내 최대”
  • 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ejk1407@naver.com)
  • 승인 2024.01.31 09: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감기업 중 부실기업 비율 11.7%…부채 2배 늘면 부실확률 30%p↑
건설업 부실확률, 2019년보다 2배 넘게 증가…“사업재편 필요”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전월보다 3.9포인트(p) 상승한 94.0을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3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기업부실 예측 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곳 중 4255곳(11.7%)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우리나라 외감기업 가운데 '부실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 수가 4000곳을 초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외감기업은 외부 회계법인으로부터 정기적으로 감사를 받는 기업들이다.

3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기업부실 예측 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곳 중 4255곳(11.7%)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보다 10.3% 증가한 수치다.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지난해 부실기업 수 추정치는 한경협이 직접 설계한 '기업부실 예측 모형'에 최소자승법을 이용해 추산됐다.

'기업부실 예측 모형'은 기업의 재무지표(자산·매출액·부채·이자 비용)를 투입해 재무 상태가 정상적인 기업이 '부실'로 전환될 확률을 산출하는 모형이다. 2018∼2022년 비금융업 외감기업(10만8244곳)의 재무지표를 회귀 분석해 설계됐다. 

모형에 따르면, 기업의 자산·매출액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정상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감소했으며, 반대로 부채·이자 비용이 커질수록 부실 확률은 증가했다. 기업의 자산과 매출액이 1%씩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각각 0.02%포인트(p), 0.0004%p 줄었다. 반면, 부채와 이자 비용이 1%씩 상승하면 부실 확률은 0.02%p, 0.00004%p 증가했다. 

특히 자산 감소와 부채 증가는 변화 폭이 클수록 부실 확률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컸다. 자산과 부채가 1% 감소·증가할 때 부실 확률의 증가 폭은 0.02%p였지만, 자산이 절반으로 감소하거나 부채가 두 배로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30%p 이상 급증해 기업 안정성이 크게 훼손됐다.

기업부실모형을 토대로 외감기업들의 평균 부실 확률을 진단한 결과, 부실 확률은 2019년(5.33%) 이후 매년 증가해 작년 7.92%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종별로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전체 기업의 부실 확률 상승을 견인했다. 이들 산업의 부실 확률은 각각 21.4%로 나타났다. 이어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순이었다.

부실 확률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었다.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2.6%에서 작년 6%로 4년 새 두배 넘게 급증했다. 한경협은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및 원자잿값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 경색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