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부위원장, ‘4월 위기설’ 일축…“PF 대출 만기 분산돼”
  •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 승인 2024.03.18 17: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서울 중구 금융연구원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3.18 [금융위원회 제공.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서울 중구 금융연구원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집중과 2금융권 연체율 상승에 따른 ‘4월 위기설’이 대두된 가운데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위기 발생 가능성이 작다고 일축했다.

금융위는 18일 한국금융연구원에서 김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열고 사업장별 PF 대주단 협약,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경·공매 등으로 PF대출을 정상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여전사 등 중소금융권 지난해 영업실적과 건전성 현황도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지난해 영업실적이 다소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고금리,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으로 연체율이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금융권 연체율은 2022년 하반기부터 상승 전환했다. 국내 은행의 경우 2022년 6월 연체율이 0.20%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11월 0.46%까지 올랐다. 상호금융 역시 2021년 12월 1.17%였던 연체율이 지난해 9월 3.10%까지 상승했다. 

이에 대해 김 부위원장은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지만 과거 평균치와 비교해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고 그간 금융권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했기 때문에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금융시스템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PF 대출 만기가 집중됐다는 금융권 일각의 지적에 대해 김 부위원장은 "대출 만기가 분산돼있어 급격한 충격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했다. 다만 손실흡수능력 확충, 적극적인 매각, 채무조정 등을 통한 건전성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업계에 요청했다.

금융위는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피벗(정책 전환) 등에 따른 변동성이 발생해도 시장 불안 요인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날 전문가들이 미국의 정책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대해서는 "정부는 지난해부터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 지연되고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한 준비를 해왔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