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된 中道의 위력, 미래 권력 결정짓는다
  • 김종일 기자 (idea@sisajournal.com)
  • 승인 2021.04.09 14:00
  • 호수 16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대 49의 대선, 스윙보터 중도 표심 향방이 ‘관건’
이재명·윤석열·안철수의 중도 쟁탈전…서로 다른 ‘성공 방정식’

163석 대 84석. 지난해 4·15 총선에서 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거둔 지역구 성적표다. 의석수 차이가 두 배에 육박한다. 더불어민주당의 일방적 승리,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의 처참한 패배다. 그런데 득표율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49.9% 대 41.5%로, 불과 8.4%포인트 차이다. 이 작은 차이를 결정짓는 집단이 바로 스윙보터다. 박성민 정치컨설팅그룹 ‘민’ 대표는 우리가 흔히 부르는 ‘중도(中道)’가 바로 스윙보터라고 했다. 그들의 비중은 유권자의 25%로 추정된다. 왜 선거 때만 되면 여야 모두 ‘집토끼(전통 지지층)’보다는 ‘산토끼(중도·무당층)’에 집중하는지를 알 수 있다.

지난해 총선 결과가 이렇게 압도적으로 차이 날 것이라고 예측한 이는 적었다. 하지만 사실 승부는 결정돼 있었다. 스윙보터인 중도가 집권여당에 힘을 실어줬기 때문이다. 결과론적인 분석이지만 흥미로운 여론조사 결과가 있다. 한국갤럽은 지난해 총선을 20여 일 앞둔 3월24~26일 성인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 위해 여당 다수 당선(정부 지원)’과 ‘정부 견제 위해 야당 다수 당선(정부 견제)’이라는 주장 중 어디에 더 동의하는지를 조사했다(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정부 지원’과 ‘정부 견제’의 응답률은 각각 46%와 40%였다.

흥미로운 부분은 성향별 응답률에 있다. 보수와 진보는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각자의 성향에 쏠리는 응답을 내놨다. 중도가 승부를 갈랐다. 중도는 45%가 ‘정부 지원’, 41%가 ‘정부 견제’라고 응답했다. 자신의 성향을 ‘모름’이라고 답한 이들 중에서도 ‘정부 지원(33%)’ 응답률이 ‘정부 견제(29%)’보다 높았다. 각각 4%포인트밖에 차이 나지 않지만, 실제 총선의 지역구 득표율 차이가 8%포인트였다. 중도·무당층의 작은 표심 차이가 대승과 대패라는 결정적 차이를 가져온 셈이다.

한국갤럽은 4·7 보궐선거를 2주 앞둔 3월23~25일 전국 성인 1001명을 상대로 지난해와 같은 조사를 했다(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정부 지원’과 ‘정부 견제’에 대한 응답률은 각각 33%와 57%였다. 이번에도 역시 보수와 진보는 각자의 성향에 쏠리는 응답을 대부분 내놨다. 그런데 중도의 응답이 지난해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정부 지원’은 25%에 그친 반면 ‘정부 견제’를 택한 응답이 67%나 됐다. 자신의 성향을 ‘모름’이라고 답한 이들의 응답도 ‘정부 지원(25%)’ 응답률이 ‘정부 견제(44%)’보다 낮았다. 지난해와는 확연한 온도 차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사실상 이번 4월 선거의 승패는 확실히 결정돼 있던 셈이다. 이런 결과를 두고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이번 4월 선거는 처음부터 끝까지 중도 표심이 최대 변수였다”고 했다.

‘대선 전초전’으로 불릴 만큼 큰 관심을 끌었던 4월7일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 결과 또한 여론조사 추이대로 야당 후보의 압승으로 끝났다. 서울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57.5%의 득표율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39.18%)를 18.32%포인트 차로 이겼다. 부산에서도 박형준 국민의힘 후보는 62.67%를 얻어 김영춘 민주당 후보(34.42%)를 28.25%포인트 차로 크게 앞섰다.

이제 내년 2월까지는 선거가 없다. 다음 선거는 내년 3월9일 대선이다. 과연 중도가 선거 승패를 가르는 흐름은 계속 이어질까. 전문가들은 지난해와 올해가 그랬듯, 내년에도 중도 표심이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입을 모았다. 그렇다면 중도 표심을 얻을 수 있는 ‘중도 확장성’이 가장 강한 대선주자는 과연 누굴까. 중도 표심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까. 대체 중도란 무엇이며, 무엇에 반응하는 걸까. 시사저널이 심층 분석했다.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가 4월7일 부산진구 선거사무소에서 당선이 확실시되자 꽃다발을 들고 V자를 그리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가 4월7일 부산진구 선거사무소에서 당선이 확실시되자 꽃다발을 들고 V자를 그리고 있다.ⓒ연합뉴스

치고 나가는 윤석열… 野 정계개편은 변수

선거는 끝났다. 이제 남은 질문은 하나다. 바로 ‘차기 대선주자 중 누가 중도 표심을 사로잡을까’라는 질문이다. 최진 원장은 “현재 민주당의 이재명 경기지사와 야권의 유력한 차기 주자로 떠오른 윤석열 전 검찰총장 그리고 계속 제3지대에서 소구력을 보이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중도에 가장 매력적”이라고 봤다.

박성민 대표는 내년 대선과 중도와의 상관성을 설명하면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무엇보다 외연 확장성이 중요하다고 했다. ‘외연 확장성’은 ‘정체성’과 ‘중도 표’의 합으로 이뤄진다. 이 말은 어찌 보면 상호모순적이다. 자신의 진영에서 뚜렷한 정체성 부합으로 인정받으면서 중도로 파고들어 표를 더 얻어내야 한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중도 표심을 얻는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 박 대표는 “예를 들면 야당의 원희룡·유승민 같은 주자들이 홍준표·나경원 같은 인물들보다는 중도가 지지하는 보수 주자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여당의 박용진 의원도 좋은 예다. 중도에선 인정받지만 당내에서 정체성을 인정받는 게 우선이다.

구체적으로 박 대표는 당장은 윤 전 총장이 중도 표심 쟁탈전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고 했다. 현재 윤 전 총장이 특정 정당에 갇혀 있지 않으면서 양측의 지지를 다 얻을 수 있는 제3지대 후보이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윤 전 총장이 국민의힘에 입당하기보다는 제3지대에 오래 머무르는 게 중도 표심 공략에 낫다는 분석도 내놨다. 특정 정당에 속하는 순간 그동안 검찰에서 한 언행이 정치적으로 해석돼 역공당할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박 대표는 민주당 내에서 중도에 소구력 있는 후보가 아직 뚜렷하게 없다고 봤다. 그는 “이재명 지사가 한때 보수와 중도 표를 얻었는데, 그것은 문재인 대통령과 대척점에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지금은 윤 전 총장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이 지사의 확장성에는 제약이 생겼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정체성을 가지면서도 중도 표를 가져올 수 있는 사람이 지금 잘 보이지 않는다. 그동안 민주당이 보수가 몰락할 때처럼 계속 한 방향으로만 달려갔기 때문”이라고 했다. 안철수 대표에 대해선 중도 이미지는 상당한데, 관건은 제3지대에서도 그가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주자라고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상일 케이스탯컨설팅 소장도 흥미로운 분석을 내놨다. 이 지사와 윤 전 총장 모두 자신들의 강점에 외연 확장성의 성공 여부가 달려 있다는 얘기다. 먼저 이 지사는 절차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실용적 행정 역량’을 극대화한다면 이념과 정치 지형을 뛰어넘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윤 전 총장도 지금의 지지율을 만든 ‘사법정의’ ‘질서’와 같은 가치들을 더 부각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 강점은 약점도 된다. 이 지사의 스타일이 대통령직에도 어울리는지에 대한 의심은 큰 리스크다. 윤 전 총장이 법조 외의 영역에 대한 역량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확장성은커녕 지금의 지지율도 금세 사그라질 수 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