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병 논란 때와 다르지 않은 맥도날드의 ‘재사용 논란’ 대응법
  • 송응철 기자 (sec@sisajournal.com)
  • 승인 2021.08.17 17:0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원과 하청업체에 허위 진술 및 보고 강요 의혹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국맥도날드의 식자재 재사용 논란이 일파만파로 확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찰까지 수사에 착수했다. 한국맥도날드는 앞서 이번 사건이 아르바이트생의 일탈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다른 매장에서도 비슷한 일이 관행적으로 이뤄졌다는 증언이 줄을 이으면서 한국맥도널의 주장이 허위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국맥도날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의 양상이 과거 한국맥도날드의 햄버거병 논란 때와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맥도날드는 당시에도 논란을 축소하기 위해 허위를 동원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브랜드 이미지에 막대한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최근 한국맥도날드를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조사 중이다. 한국맥도날드는 최근 서울의 한 점포에서 올해 1월 자체적으로 폐기 대상으로 정한 햄버거빵·또띠야 등 식자재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에 휩싸였다. 여기에는 유효기간이 표기된 스티커 위에 새로운 유효기간 스티커를 덧붙이는 방식이 동원됐다.

이런 사실은한국맥도날드 내부 직원의 국민권익위원회에 공익신고를 하면서 외부에 알려졌다. 이런 ‘스티커 갈이’는 지난해부터 1년 가까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공익신고를 접수한 권익위는 즉각 조사에 착수, 지난 13일 경찰에 사건을 넘겼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4일과 6일 연달아 사과문을 내고 식자재 재사용 사실을 인정하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이후 내놓은 해명은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는 평가다. 식자재 재사용이 본사와는 무관한 아르바이트생의 일탈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한 것이다. 그러면서 해당 아르바이트생에 대해서만 3개월 정직 처분을 내렸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를 두고 ‘꼬리 자르기’ 논란이 일었다. 아르바이트생이 유효기간이 지난 식재료를 굳이 스티커까지 바꿔가며 재활용할 이유가 있겠냐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다른 매장에서도 같은 일이 빈번하게 이뤄졌다는 증언이 연이어 나오면서 식자재 재사용이 조직적 내지는 본사의 묵인이나 방조 아래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논란에 대한 한국맥도날드의 대응이 과거 햄버거병(용혈성 요독성 증후군·HUS) 논란 당시와 닮아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햄버거병 논란은 지난 2016년 당시 4세 어린이가 한 매장에서 맥도날드 해피밀 세트를 먹고 햄버거병에 걸렸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시작됐다. 한국맥도날드가 자체 유효기간 스티커를 붙이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일 때문이었다.

햄버거병 논란은 햄버거와 질병 간 직접적 인과관계를 밝혀내지 못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했다. 그렇게 잊혀가던 햄버거병 논란은 지난 2019년 국정감사장에 다시 등장했다. 맥도날드가 검찰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직원에게 허위 진술을 강요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당시 수사 과정에서 햄버거병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패티의 언더쿡(덜 익는 현상)’에 대해 맥도날드의 한 점장은 “있을 수 없다”고 밝혔지만 이후 진술을 바꿨다.

사건을 축소하기 위해 허위를 동원한 정황은 이뿐만이 아니다. 한국맥도날드는 당시 문제의 패티 재고가 전국 10개 매장에 15박스 남아있다는 사실을 납품업체에게 보고 받았다. 그러나 한국맥도날드는 납품업체에 담당 공무원에게 패티 재고가 모두 소진됐다는 보고를 하라고 지시했다. 그 결과 한국맥도날드는 회수 명령 및 공표를 피할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당시 한국맥도날드는 브랜드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