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尹 ‘삐끗’하자 기지개 켜는 제3지대
  •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 승인 2021.12.06 11: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 부동층 표심 흡수할 수 있을까 주목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왼)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 시사저널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왼)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 시사저널

거대 양당 체제로 굳어진 대선 판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등 이른바 제3지대 후보들이 공조 움직임에 본격 시동을 걸면서다. 이들은 단일화 여부에 선을 그으면서도 정책 공조와 ‘쌍특검’ 도입 촉구 등에 같은 목소리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신당 창당을 준비 중인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까지 합세하면, 대선 판에 적잖은 파장이 일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심 후보와 안 후보는 6일 서울 여의도 인근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기로 했다. 정의당과 국민의당 측은 이날 회동에 대해 “양당 중심의 대선 흐름을 끊기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라고 설명했다. 두 후보가 제3지대 공조 방안을 안건으로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치권 관계자 말을 종합하면, 두 후보는 이날 양당 체제 종식을 위한 정치개혁 방안과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대장동 개발특혜의혹,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고발사주 의혹 관련 ‘쌍특검’ 도입 등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목받고 있는 단일화 여부를 언급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공통된 평가다. 심 후보는 전날(5일) MBN에 출연해 “양당 체제를 강화하는 단일화는 제 사전에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부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제3지대 대권주자 김동연 전 부총리가 지난 11월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사를 하는 모습 ⓒ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부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제3지대 대권주자 김동연 전 부총리가 지난 11월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사를 하는 모습 ⓒ 국회사진기자단

MZ서 치고 나오는 심상정‧안철수…존재감은 아직 ‘미약’

정의당과 국민의당이 단일화를 하지 않더라도, 제3지대 공조 논의 자체가 대선판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이재명‧윤석열 후보 지지율이 높은 비호감도를 바탕으로 박스권에 갇힌 상황이어서다. 제3지대 판이 넓어질수록 양당 후보에 실망해 이탈하는 유권자 표심을 흡수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특히 심 후보는 20대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확보하며 양당 후보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KSOI-TBS 조사(3~4일, 전국 1007명 대상)에 따르면, 만 18~29세 응답자 가운데 11.5%가 심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윤 후보 25.1%, 이 후보 25.6%에 비해 두 배 이상 뒤처지는 수치이지만, 양당 후보가 아닌 후보가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이례적이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도 심 후보 지지율은 3.0%에서 4.1%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윤 후보(41.8%⟶41.2%)와 이 후보 지지율(39.0%⟶37.9%)은 소폭 하락했다. 안 후보의 경우 해당 조사에서 전체 지지율은 하락했으나, 20대에서 심 후보와 비등한 9.1%를 기록했다.

ⓒ KSOI 제공
ⓒ KSOI 제공

다만 제3지대가 대선판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을 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린다. 제3지대 공조 뜻을 밝힌 후보들의 지지율을 합해도 10% 미만인 경우가 대다수여서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사표방지 심리가 작용해 제3의 후보로 표심이 쏠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선 조사에서 심상정(4.1%)‧안철수(3.2%) 후보와 신당 ‘제3의 물결’ 창당을 공식화한 김동연 전 부총리(1.7%) 지지율을 합하면 9%에 불과하다. 윤석열(41.2%), 이재명(37.9%) 후보 지지율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이다.

기사에 언급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