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리더-크리에이터] 경매 통한 경제 자유 돕는 ‘대장TV’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22.10.18 12:05
  • 호수 17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저널 선정 '2022 차세대리더' 100인]
[인터뷰] 경매 유튜브 채널 '대장TV' 김상준 대표…"경매는 부동산 시장의 학교"

시사저널의 창간 기획 ‘차세대 리더 100’은 국내 언론 사상 최장기 기획인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의 미래 버전이다. 창간 33주년을 맞아 시사저널이 내놓는 ‘2022 차세대 리더 100’의 선정 과정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 경제(기업·IT·스타트업), 사회(법조·환경·NGO·종교·의학·과학·크리에이터), 문화(예술·영화·방송연예·스포츠·레저) 각 분야에서 내일의 대한민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물 100명을 추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칸타퍼블릭’에 의뢰해 전문가 500명, 일반 국민 500명 등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이를 기초자료로 해서 시사저널 기자들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후보군을 압축했다. 최종적으로 시사저널 편집국에서 올 한 해 미디어에 나온 여러 자료를 검토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국내외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미래의 불확실성과 함께 위기감이 커지는 2022년 말. 시사저널이 제시하는 100명의 차세대 리더를 보면서, 그래도 내일을 기대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기를 소망해 본다.

‘조물주 위에 건물주.’ 부동산 자산가의 위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최근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경기가 주춤하지만 수익이 나오는 건물을 갖고 있다는 건 여전히 선망의 대상이다. 일부 자산가는 침체기에도 부동산을 파는 대신 증여를 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물주는 태어날 때부터 정해져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유튜브 채널 ‘대장TV’의 김상준 대표다.

김 대표는 전형적인 ‘흙수저’다. 그는 10월11일 시사저널과의 통화에서 “어린 시절 기초생활수급자 신분으로 반지하방에서 할머니와 함께 살았다”며 “열악한 환경에서 먹고 싶은 걸 거의 먹어보지 못했다”고 회상했다. 힘들게 대학 건축과를 졸업하고 설계사무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때 첫 월급이 180만원이었다. 김 대표는 “당시 웬만한 서울 아파트가 3억원이 넘었다”며 “이렇게 살아서는 결코 집을 사고 가정을 꾸릴 수 없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고민 끝에 김 대표가 선택한 것은 부동산 경매였다. 그는 “지금이야 경매가 보편화됐지만 예전에는 인터넷에도 관련 정보가 많지 않아 법원에 가서 입찰하는 거 구경하고 대출상담사한테 물어가며 경매 노하우를 익혔다”고 했다. 그러다 2013년경 인천의 감정가 7000만원짜리 구축 빌라를 3000만원에 낙찰받았다. 경매로 얻은 첫 물건이다. 이후 매각과 낙찰을 반복하며 시세차익을 쌓아 나갔다. 지금 김 대표의 부동산 자산은 100억원대에 이른다.

경매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디벨로퍼(부동산 관련 개발사업) 회사를 차렸다. 기존 건물을 낙찰받는 데서 나아가 저렴한 토지를 경매로 사들여 아예 건물을 신축·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김 대표는 회사를 운영하던 도중 ‘경매를 통해 누구나 건물주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자’는 생각을 갖게 됐다. 그렇게 2019년 회사 대표 외에 유튜버란 직함을 추가하게 됐다.

ⓒ대장TV 캡처

김 대표는 유튜브에서 단순히 경매 물건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물건이 어디에 있든 직접 찾아가 상태를 살펴보고, 때론 거주자를 만나 상담해 주기도 한다. 그는 특히 경매로 시작해 부동산 개발에 이르는 전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자신의 유튜브가 차별점을 지닌다고 자평했다. 김 대표는 “경매는 부동산 시장의 학교라고 생각한다”며 “학교에서 시세보다 싼 물건을 낙찰받아보고 특수 물건의 공략법까지 배우고 나면 2~3배의 수익을 내는 부동산 생산자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의외로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갖고 있지 않다. 경매와 관련된 민간 자격증도 없다. 그는 “경매가 아직도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며 “부동산 관련법을 전혀 몰라도 경매에서 가장 중요한 권리분석을 하는 데 무리가 없다”고 했다. 김 대표는 “나중에 경매 강의를 넘어 자본소득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한 교육사업을 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