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조’ 들였는데 참사 때 ‘먹통’…재난안전통신망 보완한다
  • 문경아 디지털팀 기자 (mka927@naver.com)
  • 승인 2022.11.11 11:0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CTV·드론 활용 다중 인파 관리 시스템도 구축
지난 10일 오전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사고' 관련 중대본 회의를 열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0일 오전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사고' 관련 중대본 회의를 열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태원 참사 당시 먹통이었던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성화한다. 다중 인파가 밀집한 장소에서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으로 밀집도를 파악해 위험이 감지되면 즉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11일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의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논의방안을 전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사고 현장에서 재난관리기관 간 상호통신이 미흡했던 재난안전통신망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며 “우선 운영 매뉴얼에 맞게 활용되지 않은 원인을 파악한 후 현장 중심의 교육과 사용기관 합동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재난안전통신망 이용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당일 재난안전통신망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기관 간 소통에 차질이 빚어졌고, 재난 문자 등도 늑장 발송됐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약 1조5000억원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실제 위급한 상황에서 역할을 하지 못한 데다, 구급 현장 최전선에 있는 서울시소방재난본부 119시스템과도 연계돼 있지 않은 점이 드러났다. 

아울러 “어제(10일)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개최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군중 밀집 인파사고 예방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기반 위치신호데이터와 교통기관의 대중교통데이터 등을 활용한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전했다.

김 본부장은 “다중 밀집된 인파를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빠른 시일 내에 구축하겠다”며 내년까지 이동통신사 위치신호데이터, 대중교통 빅데이터를 행정안전부의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할 것이라는 계획을 전했다. 또한 2024년까지 각 지자체 폐쇄회로(CCTV) 및 드론 영상의 밀집도를 자동 분석해 위험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연구도 추진할 방침이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 각 지자체 GIS 상황판을 통해 밀집도 단계(주의-경계-심각)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는 지자체에서 경찰과 소방에 대응 신호가 전달되고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