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훼손한 ‘임금의 길’ 복원…100년 전 ‘위엄’ 되찾은 광화문
  •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 승인 2023.10.15 13:3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형 부재 사용해 과거 흔적 되살린 월대, 금빛 글자 현판 공개
문화재청은 오는 15일 오후 광화문 월대 복원과 광화문 현판 복원 교체를 알리는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오는 15일 오후 광화문 월대 복원과 광화문 현판 복원 교체를 알리는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서울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장소이자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월대와 현판이 100년 만에 복원된 모습으로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앞 광장에서 월대(越臺, 月臺·건물 앞에 넓게 설치한 대)와 현판 복원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연다. 2006년부터 광화문을 복원·정비하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온 문화재청은 "오랜 기간 경복궁의 본모습을 찾아가는 복원을 진행해왔고, 이제 제 모습을 찾은 광화문 월대와 현판을 국민에게 선보인다"고 설명했다. 

월대는 궁궐, 종묘 등 중요한 건물에 설치한 특별한 공간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넓은 단이나 계단을 활용해 건물의 위엄을 한층 높이는 역할을 했으며, 왕실의 주요 의례나 만남 등 각종 행사가 펼쳐지는 무대 기능을 하기도 했다. 

문화재청 조사 결과 광화문 월대는 길이 48.7m, 폭 29.7m 규모로 육조 거리를 향해 뻗어 있었으며 중앙 부분에는 너비 약 7m의 어도(御道·임금이 지나도록 만든 길)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고종(재위 1863∼1907)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남긴 기록인 '영건일기'(營建日記)와 각종 사진 자료를 토대로 보면 광화문 월대는 조선총독부가 1910년대에 식민 통치의 정당성을 알리는 조선물산공진회 행사를 추진하고 1923년 이후 전차 선로까지 놓으면서 제 모습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돌아온 월대가 광화문 복원 사업을 마무리하는 '완성'이라고 보고 있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지난 1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경복궁의 역사성을 온전히 회복하고 궁궐의 가치와 품격을 높이기 위해 월대 복원을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월대를 복원하면서 원형 부재를 다시 사용하는 등 과거 흔적을 되살린 점은 주목할 만하다.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 일부로 추정되는 석재들이 조선왕릉인 경기 구리 동구릉에 남아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재 40여 점을 활용할 수 있었다. 

난간 양쪽을 장식하던 각 석조물도 제자리를 찾았다. 당초 문화재청은 동구릉에서 찾은 원형 부재를 난간 앞쪽에 모아서 배열하려 했으나, 총 19점의 난간석이 미세하게 다른 점을 확인해 각각의 위치도 특정할 수 있었다.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 회장 유족 측이 기증한 동물 조각상도 복원에 큰 힘이 됐다. 월대가 복원되면서 광화문 앞에 있었던 해태(해치)상도 위치를 옮겨 시민들과 만난다. 문화재청은 해태상을 어디에 둘지를 놓고 논의를 이어왔으나 광화문 앞 차로, 해태상의 의미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월대 전면부 즉, 앞부분에 두기로 했다.

문화재위원회 산하 궁능문화재분과 위원장인 홍승재 원광대 명예교수는 월대 복원에 대해 "그동안 단절됐던 광화문과 육조 거리를 연결함으로써 한양 도성의 중심축을 회복하고 각 유적을 잇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이날 월대와 함께 광화문의 새로운 현판도 공개할 예정이다. 2010년 제작된 기존 현판이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였다면, 새 현판은 검정 바탕에 동판을 도금한 금빛 글자로 한자 '光化門'(광화문)을 나타낸다. 글자는 경복궁 중건 당시 훈련대장이자 영건도감 제조(營建都監 提調·조선시대 궁 등의 건축 공사를 관장하던 임시 관서의 직책)를 겸한 임태영이 한자로 쓴 것을 그대로 따랐다. 

문화재청은 2005년 초 박정희 전 대통령이 친필로 쓴 한글 현판을 한자 현판으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가 정치권과 한글 단체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잇단 논란 끝에 2006년부터 광화문의 '제 모습 찾기' 사업이 시작됐고, 이로부터 4년 뒤인 2010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한자로 된 현판이 광화문에 새로 걸렸다.

학계 안팎에서는 10년 넘게 여러 차례 연구와 고증, 전문가 논의를 거쳐 만든 새 현판이 그간 현판 복원을 둘러싸고 이어온 논쟁의 마침표를 찍을지 주목하고 있다. 

'영건일기' 내용을 분석해 학계에 소개했던 김민규 동국대 불교학술원 문화재연구소 전임연구원 겸 문화재청 전문위원은 "이제는 (현판에 대한) 오랜 논쟁을 끝내고 광화문의 의미에 주목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과거 광화문은 경복궁의 정문이었지만, 지금은 광장의 중심"이라며 "빛처럼 퍼지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긴 이름과 궁궐 건축에 담긴 의미를 함께 생각했으면 한다"고 바랐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