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준 연대’ 성패의 3가지 변수 ①무당층 ②정체성 ③선거제
  • 이원석 기자 (lws@sisajournal.com)
  • 승인 2024.01.12 11:35
  • 호수 178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지붕 두 가족’의 갈등 조정도 관건
1월9일 양향자 한국의희망 대표(가운데)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와 이준석 개혁신당(가칭) 정강정책준비위원장 ⓒ시사저널 박은숙
1월9일 양향자 한국의희망 대표(가운데)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와 이준석 개혁신당(가칭) 정강정책준비위원장 ⓒ시사저널 박은숙

이낙연·이준석 전 대표의 이른바 ‘낙준 연대’ 등 제3지대 결성 가능성과 관련해 “2016년 안철수 현상에 준하는 효과가 날 수 있다”(채진원 경희대 교수) “차라리 따로 가는 게 각자에게 더 유리할 수 있다”(양승함 연세대 명예교수) 등 다양한 전망이 나온다. 정치에서 ‘1+1’의 정답은 반드시 ‘2’는 아니기에 여러 변수를 잘 살피는 게 중요하다.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낙준 연대의 성패를 가를 세 가지 변수로 ①무당층 ②정체성 ③선거제가 꼽힌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30%를 넘기는 무당층(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음) 비율은 제3세력에겐 분명히 기회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보다도 무당층 비율이 높은 조사들에 ‘무당층이 제1당’이란 조소 섞인 이야기까지 나온다. 여야의 극단적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환멸이다. 그러나 그 무당층을 얼마나 끌어올지가 제3지대의 숙제다. 무당층 내에는 투표장에 가지 않는 무관심층도 포함된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높은 무당층 비율이 기회인 것은 맞지만 무당층에서도 결국 선거 때는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을 찍는 비율이 적지 않다. 어떤 전략을 통해 무당층을 끌어들이느냐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정체성 설정은 핵심적인 변수로 꼽힌다. 너무도 당연한 얘기로 두 사람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대표를 지낸 인사들로 양측의 이념과 가치관엔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낙연·이준석 외에도 현재 제3지대 연대 가능성이 거론되는 인사 중엔 정의당 출신들도 있을 정도로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그 차이를 하나의 정체성으로 잘 묶어야 역시 서로 다른 유권자들도 표를 줄 수 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금 얘기가 나오는 제3지대는 하나의 정체성 또는 이념을 공유하는 것도 아니고, 현재로선 어떤 정책을 펼 것인지 등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상황이다. 유권자들은 굉장히 혼동할 수 있다”며 잘못하면 마이너스 효과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병립형보다는 현행 준연동형이 신당에 유리”

선거제 논의가 어떤 결론을 맺느냐도 관건이다. 총선이 100일도 채 남지 않았지만 여야는 아직 선거제 문제의 결론을 내지 못했다. 현행 선거제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제3당의 출현을 용이하게 한다는 취지로 지난 총선을 앞두고 도입됐지만, 불완전하게 설계된 탓에 ‘위성정당’이라는 꼼수를 가능하게 만들어 개정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문제가 있는 부분만 고치거나 당초 취지대로 더 개정해 나가면 될 일인데 지난해 말부터 거대 양당을 중심으로 이전의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양당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최근엔 민주당이 다시 준연동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입장 선회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당 입장에선 어쨌든 병립형보다는 준연동형이 비례 의석을 확보하기에 유리한 게 사실이다.

갈등 조정도 또 하나의 변수로 거론된다. 연대의 과정엔 언제나 갈등이 도사린다. 다수의 전문가는 공통된 목소리로 서로 달라도 너무 다른 지금 신당 세력들의 협상엔 갈등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전례를 살펴보면, 갈등이 노출될 경우 세력화나 연대의 동력은 급격히 떨어지고 와해됐다. 한 지붕 아래 두 가족 혹은 서너 가정이 갈등을 어떻게 조정하면서 서로 맞춰나갈지가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선 제3지대 존립의 최대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연관기사
‘이낙연+이준석’은 2가 될까, 0이 될까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