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에 전국 최초 ‘디지털 자유무역지역’ 조성
  • 김대광 영남본부 기자 (sisa524@sisajournal.com)
  • 승인 2024.02.18 09:00
  • 호수 179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최초이자 경남 수출 1번지인 창원 ‘마산자유무역지역’, 54년 만에 국가산업단지 지정…재도약 발판 마련

대한민국 첫 자유무역지역인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돼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1970년 국내 최초의 외국인 전용 투자지구인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태어난 지 54년 만이다.

마산해양신도시에는 전국 최초로 ‘디지털 자유무역지역’이 들어설 예정으로 1월25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정 고시했다. 유사한 공업지역인 봉암공단과 중리공단도 고도화를 위한 기본계획이 수립 중이다. 국가산단 지정에 따라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 강화사업 등 각종 지원 대상에 포함돼 기반시설 확충, 연구기반 구축, 근로자 생활개선시설 설치 등이 가능해져 첨단 수출기지로의 전환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창원특례시는 지역 기업 및 대학과 창의 인재 양성,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간담회를 잇달아 갖고 미래 50년의 초석을 다질 세부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은 그동안 외국 자본의 도입과 수출·고용 증대로 국가와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창원시와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한국무역협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출범 당시 입주기업은 단 4곳에 불과했으나, 1년 만에 22개 기업으로 늘어났고 총 1284명의 근로자가 수출 80만 달러를 기록했다.

54년 만에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경남 창원시의 마산자유무역지역 전경 ⓒ창원시 제공
54년 만에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경남 창원시의 마산자유무역지역 전경 ⓒ창원시 제공

마산자유무역지역, 경남 수출 26.7% 담당

이후 1988년 75개 기업에서 3만2990명의 근로자가 17억6900만 달러 수출을 달성해 경남 전체 수출의 19%를 차지했고, 2000년에는 26.7%로 그 위상이 높아졌다. 이에 대만의 수출가공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자유무역지역으로 평가받았다. 수만 명 근로자의 출퇴근 행렬은 밀물과 썰물을 연상케 할 만큼 장관을 이루기도 했다.

그러나 급성장을 거듭하던 이곳은 200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큰 충격을 줬던 건 2016년 이곳을 상징하던 성동산업의 대형 크레인이 루마니아의 한 조선소에 매각된 것이다. 지역에서는 한국 조선업의 쇠퇴를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도시를 상징하던 크레인이 해체된 스웨덴의 ‘말뫼의 눈물’에 빗대기도 했다. 근로자 수는 1987년 3만6411명을 최고점으로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년 처음 5000명대에 진입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50여 년 저력의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최근 황혼기를 이겨냈다는 평가 속에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면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에 전국 최초로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이 들어서는 것이다. 창원특례시는 지난해 12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을 정부에 요청했고, 올해 1월9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유무역지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이 통과됐다. 현재 마산자유무역지역은 마산회원구 양덕동·봉암동 일원 95만7000㎡ 부지에 제1공구·제2공구·제3공구로 나눠 조성돼 있다. 외국인 투자기업 61개사, 국내 기업 69개사 등 총 130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고용인원은 5668명 정도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전국 7개 산업단지형 자유무역지역 중 유일하게 공업지역으로 존재했다. 때문에 낮은 건폐율, 국가지원사업 배제 등 많은 불이익을 받아왔다. 하지만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서 건폐율이 기존 70%에서 80%로 상향된다. 따라서 앞으로 입주기업의 공장 증축, 생산라인 증설 등 투자가 확대되고 추가적인 고용 창출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창원시 제공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구상도 ⓒ창원시 제공
ⓒ창원시 제공
자유무역지역 지정 초창기 근로자들의 출근 모습 ⓒ창원시 제공
ⓒ창원시 제공
마산자유무역지역을 포함하는 창원특례시 항공사진 ⓒ창원시 제공

디지털 산단 업그레이드…4차 산업혁명 선도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은 기존 제조업 위주의 산업단지 형태를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D.N.A(Data. Network. AI) 기업이 집적화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 내 공공 부지에 부지면적 3만3089㎡, 연면적 10만5300㎡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사업 기간은 2024~27년까지 총 4년이다. 사업비는 총 3860억원으로 국비 2895억원, 지방비 965억원이 투입된다.

창원시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내에 기업 입주 공간인 D.N.A.혁신타운 건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곳엔 산업시설용지에 20층 규모의 기업입주시설(연면적 약 8만㎡)과 복합용지에 12층 규모(연면적 약 2만5300㎡)의 지원시설이 각각 들어선다.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조성되면 생산액 약 5412억원, 부가가치 약 2264억원, 고용인원 3441명 등의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창원시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을 기존 마산자유무역지역, 창원국가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유·무형의 재화를 생산·수출하는 지능형 기계 및 제조 특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주거·문화·산업·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왜 마산해양신도시인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해 사업 추진의 당위성을 마련하는 등 예비타당성조사 대비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오는 3월 가덕도 신공항 및 기존 자유무역지역 연계 방안, 주력산업과 산업구조 개편, 기업 유치 전략 및 운영 등을 망라하는 용역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2분기 내 산업부에 예비타당성조사 요구서를 제출할 방침도 전했다.

창원시는 봉암공단과 중리공단 등 여타 공업지역(8.7㎢)의 고도화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공업지역은 산업단지와는 달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으로만 관리돼 도심에 인접한 잠재력에도 정책 지원이 없어 활성화에 속도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 따랐다. 이에 시는 노후화된 공단 대개조를 위해 지난해 8월 영등포구청과 서울연구원 방문 및 문래동·G-Valley 현장 답사에 이어 9월에는 봉암·중리공단 기업인협의회 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10월에는 관련 용역에 착수한 후 산업혁신 전문가를 구성했고, 11월 ‘2023 창원 산업혁신 포럼’을 열어 전문가 의견을 듣는 등 경쟁력 있는 계획 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창원시는 향후 산업 기반, 지역 여건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우선 봉암·중리공단의 고도화 방안을 올해 3월까지 수립하고 주민 의견청취, 공청회, 의회보고 등을 거쳐 연말까지는 공업지역별 맞춤형 기본계획을 확정·공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공업지역 관리는 물론 산업 성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노후화된 공단을 대개조함으로써 향후 산업·업무·주거·문화가 융·복합된 혁신 산업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청사진을 마련하고 있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최근 마산이 재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마산의 미래 혁신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등 첨단기업 유치와 인재 양성을 위한 준비를 지금부터 하나하나 착실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지역 기업 및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