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3년으로 LNG 수입 비용 3조4900억원 들어”
  • 영남본부 이상욱 기자 (sisa524@sisajournal.com)
  • 승인 2020.07.24 18:2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 대표 기업 두산중공업 공장 가동률 올해 10%로 하락

정부가 탈(脫)원전 정책을 추진하지 않았다면 지난 3년간 수입한 LNG 비용을 3조4900억원가량 절감할 수 있었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24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전략’ 토론회에서 “2016년의 원전 발전 비중(30.0%)과 LNG 발전 비중(22.4%)을 3년간 적용해 발전용 LNG 양을 계산하면 약 3조4900억원의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연합뉴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연합뉴스

주 교수의 추정에 따르면 탈원전 정책이 추진된 지난 3년 동안 LNG 수입이 늘어나 추가로 지출한 비용은 3조4900억원에 이른다. LNG 발전 대신 원전을 가동했다면 3조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주 교수는 탈원전 정책으로 LNG 수입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뿐 아니라 원전 생태계도 무너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직격탄을 맞아 공장 가동률이 2018년 87%, 2019년 50%, 올해 10%로 하락했다고 했다. 두산중공업은 최근 2400명 순환휴직 뿐만 아니라 임원 20% 감축, 1000명 명예퇴직 등 인력 감축에 돌입했다. 정부가 공적 자금 3조6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했지만, 주 교수는 “미래 일감을 뺏긴 기업에 밑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지적했다. 

주 교수는 탈원전 3년으로 원전 협력 업체도 경영 악화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2016년 2836건이던 협력 업체의 원전 관련 납품 계약이 지난해 1105건으로 60% 감축했다”고 밝혔다. 이어 “두산중공업과 납품 계약한 협력 업체도 2016년 325곳에서 지난해 219곳으로 줄었다. 특히 협력 업체의 86%가 경영난에 직면했다”고 주장했다. 

주 교수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원전 산업체 회생을 위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는 등 탈원전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신한울 3·4호기를 건설하면 연인원 720만명의 고용 효과와 지난해 기준 재생에너지 보조금(2조2400억원)의 45% 수준을 지원할 수 있다”며 “원전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정책을 채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 관련 중소업체가 다른 업종으로 전환하면 원전산업 생태계가 붕괴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윤종수 창원상공회의소 회원지원본부장은 “원전 중소업체가 이탈하면 국내 및 UAE에 수출한 가동원전의 예비품, 정비부품 공급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이럴 경우) 국내외 가동 중인 원전의 안정적 운영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해외 원전 수출이 성사되더라도 안정적 수행이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 회원들은 이날 토론회장 입구에서 피켓을 들고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 회원들이 24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전략’ 토론회장 입구에서 피켓을 들고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요구하고 있다. ©시사저널 이상욱 기자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 회원들이 24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전략’ 토론회장 입구에서 피켓을 들고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요구하고 있다. ©시사저널 이상욱 기자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