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 소프트웨어 결함 알고도 ‘쉬쉬’했나
  • 이석 기자 (ls@sisajournal.com)
  • 승인 2021.12.16 10:00
  • 호수 167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독] 아우디코리아 대표 등 결함차 판매 의혹 피소…아우디 측 “문제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완료”

아우디코리아가 차량의 결함을 알면서도 소비자들에게 판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가 크게 다칠 수 있음에도 아우디 측이 문제를 숨겼다는 것이다. 경찰도 최근 아우디 차량 고객으로부터 고소장을 접수받고 조사를 준비 중이다. 경찰 조사에서 문제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차량은 2021년식 아우디 Q7 450TDI다. 아우디 딜러사인 태안모터스가 지난해 메이저리거 최지만 선수에게 후원한 차량과 비슷한 급이다. A씨는 11월4일 프리센스 기능이 탑재된 이 차량에 대한 장기 렌트 계약을 체결했다. 프리센스는 차량의 크루즈와 비상정지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사고가 났을 때 이 기능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시사저널 최준필
ⓒ시사저널 최준필

차량 인도 나흘 만에 두 번이나 오작동

A씨가 11월9일 차량을 인도받고 이틀 후 ‘Audi 프리센스 오작동!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십시오’라는 경고등이 떴다. A씨는 딜러사인 태안모터스와 아우디코리아에 연락했다. 그러자 “신차의 경우 오류 메시지가 잘못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큰 문제가 아니니 AS센터에 맡겨 처리하면 된다”는 답변을 받았다. 마침 경고등도 사라졌다. A씨는 AS센터에 입고하기 위해 불렀던 견인차를 취소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A씨는 센서 오류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틀 후 또다시 ‘프리센스 오작동’ 경고 메시지가 떴다. 이번에는 크루즈 기능이 작동할 수 없다는 내용까지 포함됐다. 안전벨트를 매고 있음에도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도 계속 나타났다. A씨는 결국 문제의 차량을 AS센터에 입고하고 수리를 의뢰했다. 고장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A씨는 충격적인 말을 들었다. 차량 소프트웨어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는 것이다.

이 직원은 “프리센스 시스템 오류로 크루즈와 비상정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기능상 오류가 확인돼 아우디 본사에서도 프로그램 업데이트 지시가 내려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언제 업데이트가 가능할지 우리도 알 수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아우디 측은 고객에게 이 같은 사실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 A씨는 “기능상 결함이 있는 것을 알고 있었다면 장기 렌트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아우디 측은 이 같은 사실을 고지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프리센스 오작동 문제를 별것 아니라는 식으로 얘기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와 관련해 아우디 측은 “고객에게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면서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다”고 해명했다. 아우디코리아 관계자는 시사저널의 질의에 “해당 차량은 아우디 서비스센터에 입고돼 문제가 된 부분의 수리를 완료했고, 출고 가능함을 고객에게 안내드렸다 (그러나 고객이 응하지 않고 있다). 아우디는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더욱 높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하지만 A씨의 설명은 달랐다. 그는 “서비스센터 담당자는 프리센스 오류 부분의 근본적인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면 언제든 다시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오작동 문제를 해결한 후에 차량을 인도해 달라고 했지만 회사 측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오히려 장기 렌트 약정에 의한 월임대료를 그대로 청구했다”고 지적했다. A씨는 아우디코리아와 딜러사인 태안모터스, 폭스바겐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 대표 등을 사기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실제로 현재 보배드림 수입차 게시판이나 아우디 관련 카페에는 프리센스 오류를 호소하는 글이 적지 않다. 관련 글 아래에는 비슷한 피해를 호소하는 댓글도 줄줄이 달려 있다. 한 고객은 프리센스 오류로 7회나 서비스센터에 입고했지만 하자를 찾지 못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일반 하자는 솔직히 감수하고 탈 수 있다. 하지만 왕복 6차로 교차로 한복판에서 시동이 꺼졌다. 1차로에서 갓길로 옮기기까지 5~10분이 걸렸다”면서 “아우디 본사 또한 이 문제를 알고 있고, 결함도 인정하지만 솔루션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주 한국자동차소비자연맹 회장이 2019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아우디ㆍ폭스바겐 불매운동 및 공정위 성토 기자회견’에서 아우디 Q7 판매와 관련해 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디젤게이트’ 이어 결함차 판매 의혹까지

현행법(레몬법)상 중대 하자 두 번, 일반 하자가 세 번 발생하면 차량을 교환하거나 환불할 수 있지만, 리스나 장기 렌터카는 레몬법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회사 측 주장이다. 그는 “자동차회사는 제조하고 판매한 차량에 대해 책임을 질 의무가 있음에도 현행법의 맹점을 교묘하게 악용했다”면서 “결국 소비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우디는 과거 배기가스를 조작한 ‘디젤게이트’ 여파로 판매 감소와 함께 적지 않은 브랜드 이미지 손실을 입어야 했다. 논란이 터지기 전인 2015년 3만3000여 대에서 조금씩 하락하기 시작하더니 2019년 1만 대 밑까지 떨어졌다. 이후 공격적인 라인업 확대와 가격 마케팅으로 예전의 실적을 많이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아우디가 수입차 ‘빅3’에 포함되기도 했다. 특히 A6는 최근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했다는 언론보도까지 나왔다.

이 과정에서도 크고 작은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올해 초 전기차 e-트론의 주행거리 인증 논란이 불거졌다. 9월에는 이른바 ‘2차 디젤게이트’로 공정위로부터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결함 논란까지 빚어질 경우 아우디의 브랜드 이미지 추락과 함께, 어렵게 회복한 판매율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도 시사저널은 아우디 측 입장을 듣기 위해 질의서를 보냈지만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