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지나면 체감물가 더 오른다…공공요금 등 줄줄이 인상 대기
  • 허인회 기자 (underdog@sisajournal.com)
  • 승인 2022.09.08 07: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 수입 단가 상승으로 전기·가스요금 ↑
한은 “5~6%대 물가 오름세, 상당 기간 이어져”
서울 시내 대형마트 채소 판매대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대형마트 채소 판매대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고물가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추석 이후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더욱 팍팍해질 전망이다. 이미 라면, 스낵 등 식품업계는 추석 직후 가격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오는 10월에는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대기하고 있다. 이에 더해 러시아의 유럽행 가스 공급 중단으로 유가 상승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름값 대란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8.8%를 기록했다. 이는 1992년 10월(8.8%) 이후 약 30년 만의 최고치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7%를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물가 상승세가 꺾였지만 실제 서민들이 느끼는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다.

문제는 추석 이후다. 당장 오는 15일 농심은 라면과 스낵 주요 제품의 출고가격을 각각 평균 11.3%, 5.7% 인상하기로 했다. 지난해 8월 이후 1년 만에 또 다시 제품 가격을 올릴 예정이다.

농심이 신호탄을 쏘자 식품 업계가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대상은 조미료 미원 가격으로 12.5% 인상하기로 했고, 하림과 사조는 편의점용 닭가슴살 가격을 각각 8.7%, 12% 올린다. 팔도는 다음달 1일부터 라면 12개 브랜드에 대해 평균 9.8% 인상 계획을 밝혔다. 동원F&B, 매일유업, hy 등 유가공 업체들도 일부 제품을 내달부터 평균 10% 안팎으로 인상할 방침이다. 식품 업계는 곡물 등 원·부재료 가격 및 물류비 상승 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공공요금 인상도 눈앞에 다가왔다. 오는 10월 전기요금 기준연료비는 4월에 이어 ㎾h당 4.9원 오를 예정이다. 가스 요금도 정산단가가 MJ(메가줄)당 1.9원에서 2.3원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하지만 인상 폭이 당초 정해진 수준보다 더 높아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의 9월분 가스 도매가격(열량단가)은 Gcal(기가칼로리)당 14만4634원으로 지난달에 비해 13.8%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배, 2년 전 같은 달보다 4.3배 높은 수준이다. 한국전력이 발전사에서 전력을 구입할 때 적용되는 전력 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은 지난 1일 kWh당 228.96원으로 약 10년7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서울 한 주택가 도시가스 계량기 ⓒ연합뉴스
서울 한 주택가 도시가스 계량기 ⓒ연합뉴스

한은 "물가 오름세, 예상보다 오래 갈 가능성 높아"

에너지 도매가격이 치솟는 데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국제 LNG 현물가격 지표인 JKM은 지난달 25~26일 마감 기준 100만BTu(열량 단위)당 69.665달러로, 1년 전(10.965달러)과 비교해 6배 이상 치솟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연합(EU)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최근 러시아의 유럽행 가스관 ‘노드스트림’ 가동 중단과 함께 겨울철 수요 급증으로 LNG 가격은 더욱 뛸 가능성도 높다.

러시아의 유럽행 가스 공급 중단은 석유 가격 상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매섭게 치솟고 있는 LNG 대신 석유 수요가 늘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오는 10월 하루 원유 생산량을 9월보다 1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하면서 유가 상승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10월을 고물가 정점으로 봤던 정부도 한발 물러선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7일 ‘고인플레이션 지속가능성 점검’ 보고서를 통해 “주요 물가 리스크를 점검해 본 결과, 원자재가격 반등 가능성, 수요측 물가압력 지속 등으로 높은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오강현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도 “5~6%대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도 4%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의 안정을 위한 정책대응이 지속될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