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美반도체법 가드레일에 “韓기업, 중국 운영 차질 없어”
  • 허인회 기자 (underdog@sisajournal.com)
  • 승인 2023.03.22 17: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한 결과” 자평
용인 클러스터 日기업 참여엔 “배제해선 안 돼”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과 공동주택 공시가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과 공동주택 공시가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미국 정부의 반도체법(CHIPS Act) 가드레일(안전장치) 조항 세부 규정과 관련해 “우리 기업이 중국 내 보유 중인 제조설비 운영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22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번 미국의 발표 세부 규정에 따르면 중국 등 우려 대상국 간의 첨단 반도체 제조 설립은 웨이퍼 투입 기준 10년간 5%까지 확장이 가능하고, 기술 업그레이드도 제한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수석은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 업그레이드와 장비 교체 등의 숫자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며 “기술 업그레이드, 집적도 증가를 통해 웨이퍼당 칩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어 추가적인 생산 능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국 측의 관심사였던 ‘기술 업그레이드’ 부분이 빠진 것과 관련해 우리의 요구 사항이 비교적 잘 반영됐다는 것이 최 수석의 설명이다.

앞서 21일(현지 시각) 미 상무부는 반도체법 지원금이 국가안보를 저해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도록 설정한 가드레일 세부 조항 초안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세부 규정안에는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능력을 5%까지 늘릴 수 있는 투자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레거시(범용) 반도체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능력을 10%까지 늘릴 수 있다.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보조금을 받을 경우 중국 내 반도체 생산능력을 5% 이상 확장할 수 없다는 의미다.

다만 우리 기업이 우려해온 반도체 생산 시설의 기술적 업그레이드가 세부 조항에 빠지면서 한숨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5%(또는 10%) 설비확장 상한 내에서 대(對) 중국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규정을 준수할 경우 중국 생산설비의 기술·공정 업그레이드를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윤석열 정부의 대미 협상 성과라고 평가했다. 최 수석은 “윤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다수 상·하원 의원 등 미국 정계 인사와의 만남에서 한·미 간 첨단산업 협력과 함께 우리 기업들이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미국 측에 적극 요청해왔다”며 “윤 대통령의 강력한 지시에 따라 대통령실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채널을 통해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 전에도 미국 정부로부터 세부 규정의 주요 내용에 대해 사전 브리핑을 받는 등 긴밀한 소통을 해왔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오는 3월 말 발표 예정인 IRA 세액 공제 가이던스 등 통상 현안에 대해선 “어젯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가드레일 세부규정을 작업하는 동안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의해왔으며 앞으로도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 명시했다”며 “앞으로 3월까지 발표할 예정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액 공제 등 통상 현안에 대해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해 우리 기업의 이익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최 수석은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소재·부품·장비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언급한 윤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일본 기업을 포함한 해외 중견·중소기업들의 참여를 배제해서는 안 되지 않겠나”라며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가장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생태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국익에 도움되고 기업과 국민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21일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양국 기업 간 공급망 협력이 가시화되면, 용인에 조성될 예정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의 기술력 있는 반도체 소부장 업체들을 대거 유치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반도체 첨단 혁신기지를 이룰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