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100곳 중 5곳 고위험가구…평균 부채 2억5000만원
  • 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ejk1407@naver.com)
  • 승인 2023.03.23 15:5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축은행·여전사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 각각 26.6%, 16.6%
우리나라 전체 가구 100곳 중 5곳은 보유 중인 재산을 다 팔아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인 것으로 23일 분석됐다. ⓒ 연합뉴스
우리나라 전체 가구 100곳 중 5곳은 보유 중인 재산을 다 팔아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인 것으로 23일 분석됐다. ⓒ 연합뉴스

우리나라 전체 가구 100곳 중 5곳은 보유 중인 재산을 다 팔아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인 것으로 분석됐다.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의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특히 높아 이들의 대출자산 회수율과 연체율 급상승 가능성을 둘러싼 우려가 함께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23년 3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연간 소득에서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고,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이른바 '고위험가구'의 비중은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5%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000만원이었다. 비(非) 고위험가구(1억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로 전체 가계 금융부채의 9.0% 수준이었다.

전체 가구 중 고위험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2월 5.0%로 예년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2016년 2.9%, 2017년 2.7%, 2018년 3.3%, 2019년 3.4%, 2020년 3.2%, 그리고 2021년엔 2.7%를 기록했다. 

금융업권별로 저축은행과 여전사의 가계대출 중 고위험가구 비중이 각각 26.6%, 16.6%로 은행(7.2%), 상호금융(11.6%), 보험회사(12.4%)에 비해 높았다. 이들 고위험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저축은행 34.1%, 여전사 41.1%)도 높아 대출 자산 회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우려됐다.

고위험가구 대출 연체율이 급증할 가능성도 수면 위로 올라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체 금융권이 0.7%, 은행 0.2%, 저축은행 4.7%, 여전사 2.4% 등이다. 한은은 "지난해부터 금리인상 등으로 이자부담이 증가하고, 자산가격이 하락하면서 DSR과 DTA가 추가 상승하는 등 가계대출 연체 가능성이 더 높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계대출 연체율 증가가 기관 부실 사태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은 저축은행 13.3%(규제비율 7%), 여전사 17.8%(규제비율 7~8%)로 양호하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2월 현재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제한적이나 고위험가구의 부실로 향후 일부 비은행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며 "다만 연체율 상승 정도, 금융기관의 손실흡수능력 등을 두루 감안할 때 금융시스템 전반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