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학교가 비어간다…올해 입학생 ‘0명’ 초교 32곳
  • 정성환·신명철 호남본부 기자 (sisa610@sisajournal.com)
  • 승인 2024.01.15 15:4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생·인구유출 심화로 폐기 위기” 작년보다 12곳 늘어
도내 415개 학교의 7.7% 해당…전체 입학생 수도 10.7% 감소
무풍지대였던 전북 ‘작은 학교’ 9곳 통폐합…역대 최대 규모

올해 전북지역에서 ‘입학식’이 없는 학교가 32곳에 달했다. 입학 예정 학생이 한 명도 없어서다. 전북지역 학교가 저출생과 인구 유출 현상 심화로 폐교의 위기로 몰리고 있다. 신입생이 없는 전북지역 초등학교가 올해도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그간 ‘작은 학교’ 통폐합의 무풍지대였던 전북에서도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학교가 문을 닫을 예정이다.

올해 전북지역에서 ‘입학식’이 없는 학교가 32곳에 달한다. 입학 예정 학생이 한 명도 없어서다.  전북도교육청 전경 ⓒ시사저널
올해 전북지역에서 ‘입학식’이 없는 학교가 32곳에 달한다. 입학 예정 학생이 한 명도 없어서다. 전북도교육청 전경 ⓒ시사저널

“학생이 없다”…휴교(休校)도 3곳

15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초등학교 예비소집을 마친 결과 입학 예정 학생이 한 명도 없는 학교가 32곳에 달했다. 도내 415개 학교의 7.7%에 해당한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막을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2021년과 2022년 각각 3곳이었다. 작년에는 실제 입학생이 한 명도 없었던 초등교가 20곳이었는데 12곳 더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군산 6곳, 임실 5곳, 고창·익산 각 4곳, 김제 3곳 등이다. 이미 수년 전부터 신입생이 없거나 전교생이 너무 적어 학교 문을 잠시 닫은 휴교(休校)도 작년 3월 기준 3곳에 달한다.

초등학교의 전체 입학생 수도 1만1523명으로 작년의 1만2905명에 비해 1382명(10.7%)이 감소했다. 입학생 총수가 100명을 밑도는 자치단체는 장수(74명), 무주(93명), 순창(98명) 등 3곳으로 집계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저출생과 인구 유출이 지속하면서 입학생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뾰족한 대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폐합 외엔 뾰족한 대책 없어”

학생 수가 줄면 이처럼 인근 학교와 통폐합되거나 일단 휴교에 들어가고, 휴교가 계속되면 지역 주민 여론 수렴을 거쳐 폐교를 결정하게 된다. ‘작은 학교’ 통폐합의 무풍지대였던 전북에서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학교가 문을 닫는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학생 수 10명 미만의 ‘작은 학교’ 9곳이 문 닫는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통폐합되는 학교 중에는 5년여간 휴교 상태인 곳도 있다”며 “근래 들어 가장 대규모 통폐합”이라고 말했다. 

군산지역에서는 신시도초등학교 야미도분교장과 어청도초등학교, 김제에서는 금남초등학교와 화율초등학교가 대상이다. 부안의 백련초등학교, 위도초등학교 식도분교장, 계화초등학교, 주산중학교와 남원의 수지중학교도 폐교된다.

전북지역 폐교 현황 ⓒ전북교육청
전북지역 폐교 현황 ⓒ전북교육청

군산 야미도분교와 어청도초, 부안 식도분교는 최근 입학생이 없어 휴교 상태며 부안 주산중은 재학생이 1명뿐이다. 재학생이 9명인 백련초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도 모두 5명 이하만 다니고 있어 정상적인 학교 운영이 어려운 상태라고 도교육청은 설명했다.

통폐합 시점은 남원 수지중만 오는 8월 말이며 나머지는 다음 달 29일이다. 폐교된 곳은 인근 학교로 통합된다. 전북교육청은 재학생이 5명 미만인 임실 지사중학교와 무주 부당초등학교 등에 대해서도 통폐합을 위한 의견 수렴 절차를 밟고 있다.

이는 저출산 여파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서거석 교육감이 통폐합에 적극적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 교육감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아이들이 더불어 사는 지혜를 배우게 하려면 적정 규모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앞서 전임 김승환 전 교육감은 “폐교는 지역의 공동화를 부추긴다”며 이에 소극적이었다. 도내 통폐합 학교는 김 교육감 시절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1곳씩에 머물렀다. 그러나 서 교육감 취임 이듬해인 2023년 2곳으로 증가한 데 이어 올해 규모가 대폭 늘어났다. 2013∼2016년과 2022년에는 한 곳도 없었다.

서거석 교육감은 “지역사회를 살리기 위해 최대한 작은 학교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라면서도 “강제 통합은 하지 않지만, 아이들을 위해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통합학교에는 다양한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