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24시] 양산 인구 두 달 연속 증가세
  • 박치현 영남본부 기자 (sisa518@sisajournal.com)
  • 승인 2020.08.12 13: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산시, 하수처리공정 악취개선사업 계속 추진
양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또 무산

경남 양산시 인구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말 양산시 인구는 총 35만1651명으로 지난 6월(35만1596명)보다 55명이 늘었다. 지난해 11월 35만165명으로 인구 35만을 돌파하며 증가세를 이어오던 양산시는 4월과 5월에 123명이 줄면서 두 달 연속 감소했으나,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양산시 인구가 두 달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양산시
양산시 인구가 두 달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양산시

읍·면·동 별로 살펴보면 평산동이 57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물금읍도 56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신규 아파트 입주로 양산시 인구 증가를 견인해오던 중앙동과 덕계동이 각각 28명과 13명이 늘면서 증가세가 주춤한 상태다.

특히 지난 5월 첫 1만5000명을 돌파한 덕계동은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5월 115명 ▲6월 62명 ▲7월 13명으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원동면도 여름철을 맞아 8명이 늘었고, 양주동은 변화가 없었다.

한편 7개 읍면동은 인구가 감소했다. 동면이 47명으로 가장 많이 줄었고, 삼성동이 27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상북면 -12명 ▲서창동 -9명 ▲하북면 -6명 ▲소주동 -5명 ▲강서동 -1명 순으로 인구가 줄었다. 양산시 가구수는 전월대비 297세대가 늘었다. 하북면과 강서동을 제외한 모든 읍면동에서 세대수가 증가했다.

 

◇양산시, 하수처리공정 악취개선사업 계속 추진

경남 양산시는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양산하수처리시설 악취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양산시는 지난 2016년 3월 사업비 49억 원을 투입해 탈취기(1330㎥/min) 4기 설치, 탈취배관 및 덮개 설치 등 1차 악취개선사업을 완료했다. 하지만 악취 민원이 계속 이어지자 2019년 사업비 10억 원을 추가 투입해 탈취기(400㎥/min)와 악취발생원에 대한 커버(69개소), 포집덕트 등을 설치했다.

하수처리장에 탈취시설을 갖춘 후 악취 민원이 줄어들고 있다ⓒ양산시
하수처리장에 탈취시설을 갖춘 후 악취 민원이 줄어들고 있다ⓒ양산시

또 시설운영과정의 온도상승 등으로 급변하는 고농도 악취 제거를 위해 1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조시설의 수세시설의 보강과 건조시설 및 소화조 탈취배관에 수돗물을 이용한 미세분무시설(포그시스템)을 설치했다.

이를 통해 악취물질을 50% 이상 감소시키고 기존 시스템과 연계 운영해 효율적인 악취처리시스템을 지난달 구축하면서 냄새 민원이 급감했다. 주변지역 주민들과 공원 방문객들은 “최근 들어 악취 및 약품냄새가 덜 난다”며 “그러나 하수시설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산시는 하수처리공정의 폭기조에서 배출되는 저농도 배출공기가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수질정화공원 쪽으로 배출돼 발생하는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비 4억원을 들여 폭기조 커버 2개소(90개), 포집배관, 수세시스템 2개소 설치를 위한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다. 양산시는 오는 11월 말까지 사업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하수처리장 방류수 냄새 발생에 따른 민원 해소를 위해 진행 중인 방류수로 이설공사가 오는 12월에 준공되면 양산수질정화공원 주변 냄새 민원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양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또 무산

경남 양산시와 부산대 양산캠퍼스 등이 추진 중인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지정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무산됐다. 지정 요건이 변경되지 않으면 재추진도 쉽지 않아 국책사업인 동남권 의·생명특화단지 조성 계획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강소특구 지정을 위해 개최한 제34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에서 부산대 양산캠퍼스 등이 신청한 ‘빅데이터 기반 의료 실증사업’이 탈락했다.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총 7개 자치단체가 신청한 강소특구 지정을 심의한 뒤 6곳은 신규로 지정했다.

양산시의 탈락은 처음부터 예견됐다는 지적이다. 기술 핵심기관의 연구·개발 인력 450명, 투자 260억 원, 특허출원 145건, 기술이전 30건 이상 등의 실적을 충족해야 하고, 정부가 강소특구 신청지역이 늘어나자 지난해 정량조건을 분원(다른 캠퍼스)과 합산하지 못하도록 변경했기 때문이다. 양산캠퍼스와 장전캠퍼스의 실적을 합쳐 심사 요건을 충족시켰던 시와 부산대는 기한 내에 변경된 기준에 맞는 자료를 제출하지 못했다.

이번 강소특구 지정 실패로 시와 부산대가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추진 중인 동남권 의·생명특화단지 조성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됐다. 이 사업은 2040년까지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 부지에 생명 환경연구센터와 천연물 안전지원센터 등 11개 사업을 추진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민자유치가 가능한 강소특구 지정이 필수적이다.

한편 양산시는 강소특구 지정과는 별개로 당초부터 동남권 의·생명특화단지 조성사업을 착실히 추진하고 있으며, 11개 사업 중 1단계 사업인 천연물안전지원센터와 생명환경연구센터, 인공지능융합의료기술센터 사업을 중앙부처 공모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