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전두환 측 “5‧18 발포명령 없었다…사죄 왜 묻나” [전두환 사망]
  •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 승인 2021.11.23 13: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8 막연히 사죄하란 질문 잘못…책임 없어”
1979년 11월 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 수사 본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사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1979년 11월 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 수사 본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사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23일 사망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측근인 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은 5‧18 민주화운동 무력 진압에 대한 사죄 여부와 관련해 “질문 자체가 잘못됐다”며 언성을 높였다. 

민 전 비서관은 이날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전 전 대통령의 자택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전 대통령이 사망 전 5‧18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남긴 말은 없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막연하게 사죄하라는 것은 사람 붙잡아놓고 이실직고 하라는 것과 똑같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민 전 비서관은 “육하원칙에 따라 그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몇 월 며칠 몇 시에 어디서 어떤 부대를 어떻게 지휘했고 누구에게 어떻게 집단발포 명령을 했는지, 그것을 적시한 다음 사실이냐 아니냐 묻고 거기에 대해서 사죄하라고 그래야지 무조건 사죄하라고 그러면 그게 질문이 되느냐”라고 반발했다.

이어 민 전 비서관은 “광주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에 대한 그런(사죄) 말씀은 이미 하신 바가 있다”라면서 “백담사 계실 때에도 그렇고, 여기 연희동에 돌아오신 뒤로도, 사찰에 가서도 기도와 백일기도 하시고 여러 차례 했는데 더 어떻게 하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 전 비서관은 “발포 명령이라는 건 없었고, 보안사령관이 발포 명령을 했다는 것도 말이 안 된다”며 “사죄의 뜻을 밝힌 건 대통령이 된 후 광주 사태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를 충분히 못 했기 때문에 그런 점에 대해서 유감스럽다는 말을 한 것이지 발포 명령했다고 사죄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취재진이 ‘본인 책임이 아니었다는 것인가’라고 묻자 민 전 비서관은 “책임이 없었다”며 선을 그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2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입구에서 민정기 전 비서관이 사망을 공식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2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입구에서 민정기 전 비서관이 사망을 공식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아울러 민 전 비서관은 전 전 대통령의 유언과 관련해서는 “회고록에 유서를 남긴 것이 사실상 유서”라며 “그 대목은 ‘건강한 눈으로 맑은 정신으로 통일을 이룬 빛나는 조국의 모습을 보고 싶다. 그 전에 내 생이 끝난다면 북녘 보이는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서 그날을’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 전 비서관은 “평소에도 가끔 ‘나 죽으면 화장해서 그냥 뿌려라’는 말씀을 했다”며 “가족들은 유언에 따라 그대로 하기로 했다”라고 언급했다.

민 전 비서관은 전씨의 사망 당시 상황에 대해서는 “아침에 화장실에 가시다가 쓰러져서 회복을 못 하고 운명했다”면서 “이순자 여사만 계셨고 연락할 틈도 없이 운명해 응급처치를 못 하고 돌아가셨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5분께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향년 90세이다. 그는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종 확진 판정을 받고 투병 중이었으며, 최근 건강 상태가 악화해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서 통원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6일 12·12 군사 쿠데타 동지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한 데 이어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전 전 대통령도 세상을 떠났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