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보수 최초 2년 연속 5‧18 광주행…역대 대통령들은? [오월의 광주]
  • 구민주 기자 (mjooo@sisajournal.com)
  • 승인 2023.05.18 11:3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년 오겠다” 약속 이행…기념사에서 자유‧국민통합 강조
이명박·박근혜, 첫해 이후 불참…《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도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지난해 “임기 중 매년 기념식에 참석하겠다”고 했던 약속을 이행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지도부 등 여권 인사들도 광주로 총집결해 윤 대통령의 통합 행보에 힘을 실었다. 윤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보수 대통령 최초로 2년 연속 기념식 참석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민주묘지에 도착, 지난해와 같이 ‘민주의 문’을 통과했다. 윤 대통령은 이곳에서 5·18 당시 가족을 잃었던 ‘오월의 어머니’들을 직접 맞이한 뒤 추모탑까지 약 200m를 걸어서 동반 입장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오월 정신 계승’을 주창했다. 윤 대통령은 “오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이고,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며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말했다. 또 “오월의 정신으로 우리 모두 하나가 되었다”며 5‧18을 매개로 국민 통합을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말미에 유족 등 옆 참석자들과 손을 맞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기도 했다. 이 또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성사됐다.

지난해 취임 8일 만에 5‧18 기념식을 찾았던 윤 대통령은 유족들 앞에서 “매년 참석하겠다”는 약속을 한 바 있다. 따라서 올해 윤 대통령의 참석 여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주목됐다. 여러 기대와 우려 속 윤 대통령이 2년 연속 5‧18을 챙기면서, 역대 보수 대통령들과 어느 정도 차별화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을 전망이다.

취임 첫해인 2008년과 2013년 각각 5·18 기념식을 찾은 이명박 전 대통령(왼쪽)과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취임 첫해인 2008년과 2013년 각각 5·18 기념식을 찾은 이명박 전 대통령(왼쪽)과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상당 기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은 대통령의 참석을 놓고 크고 작은 진영 갈등을 겪어왔다. 진보 대통령들의 참석률은 대체로 높았으며 별다른 논란 없이 치러졌다. 5·18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후 3년이 지난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로 기념식에 참석했다. 김 전 대통령이 5·18의 최대 피해자 중 한 명이었다는 점에서, 당시 그의 참석이 시사하는 바는 남달랐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 한 번도 빠짐없이 기념식을 챙겼다. 현재까지 기념식에 개근한 유일한 대통령으로 남아있다. 취임 직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지시한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7년, 2019년, 2020년 총 세 차례 참석했다.

논란은 주로 보수 정권 시기에 발생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2008년 단 한 차례 참석했다. 이후 임기를 마친 2012년까지 광주로 조화만 보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취임 첫해인 2013년에만 직접 자리했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2015년에는 5·18 기념일이 제정된 이래 처음으로 부총리인 최경환 당시 경제부총리가 기념사를 대독해 ‘홀대 논란’이 일기도 했다. 대통령의 불참이 정해질 때마다 야당은 비판의 메시지를 내놓았고, 유족 등 광주 민심 또한 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

임기 중 5·18 기념식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노무현 전 대통령(2005년)(왼쪽)과 문재인 전 대통령(2019년) ⓒ연합뉴스
임기 중 5·18 기념식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노무현 전 대통령(2005년)(왼쪽)과 문재인 전 대통령(2019년) ⓒ연합뉴스

기념식의 하이라이트인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두고도 제창‧합창 논란이 반복돼왔다. 합창은 원하는 사람만 부르는 소극적인 형식이고, 제창은 참석자들이 일제히 함께 부르는 적극적인 형식을 의미한다. 어떤 형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5‧18에 대한 정권의 인식이 가늠되곤 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2008년까지 기념식에서 ‘제창’됐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당시 국론 분열을 이유로 ‘합창’ 방식으로 바뀌었다. 취임 첫해인 2008년 이 전 대통령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불렀다가 보수 진영의 비난을 받으면서다.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도 임기 내내 합창 형식을 유지했으며 문재인 정부 들어선 후 제창으로 다시 바뀌었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보수 대통령 최초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해 주목을 받았다. 보수 정권은 ‘합창’ 진보 정권은 ‘제창’이라는 기존의 공식을 깼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이번 기념식에서도 윤 대통령은 역시나 자리에서 일어나 손을 흔들며 제창했다. 이번 기념식에서 보인 윤 대통령의 모습으로, 최근 여권 내 설화로 싸늘히 식은 호남 민심이 어느 정도 온기를 되찾게 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