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에 20명 가까이 모인 정상들…올해는 왜 유독 북적일까
  • 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ejk1407@naver.com)
  • 승인 2023.05.20 17: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크라戰 대응·中견제 차원…단일대오는 어려울 듯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각국 정상들이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각국 정상들이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 중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예년보다 훨씬 많은 각국 지도자가 모이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올해 의장국인 일본이 우크라이나 전쟁 대응과 중국 견제 등의 굵직한 화두를 올린 뒤 주요국 정상들을 초청, 국제사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담은 결과라는 분석이다.

18일(현지 시각) 현재 G7 정상회의에는 평년보다 두 배가 넘는 총 15개국 정상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여기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호주, 인도, 브라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코모로, 쿡 제도 등의 8개 초청국 지도자들이 참석 중이다. G7에 통상 동행하는 유럽연합(EU) '투톱'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및 샤를 미셸 정상회의 상임의장, 올해 특별 초청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등 초청국, 동행 지도자를 모두 합하면 올해는 20여 명에 가까운 정상급 지도자가 모였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영국 BBC 방송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서방권 협의체보다 훨씬 글로벌한 연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게스트 명단에 없는 러시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국제 질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보도했다.

BBC는 "기시다의 가장 분명한 목표 중 하나는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대해 연합전선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러시아의 전쟁 수행능력을 겨냥해 에너지와 수출 등에서 더 많은 제재를 가하려는 의도를 시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날 G7 개막 직후 각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내고 대(對)러시아 추가 제재 방침을 밝히며 경제적·인도적·군사적·외교적 측면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정상회의 개막 직전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격 대면 참석을 결정한 점도 이와 궤를 같이 한다는 분석이다.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원자폭탄을 투하한 히로시마를 이번 회의의 개최지로 선정한 것 역시 러시아가 전술핵무기 카드를 만지작대며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는 사실을 전 세계에 다시 환기시키려는 의도라는 의견이 많다.

주최국의 이러한 뜻에 선뜻 동의한다고 나설 초청국은 사실상 거의 없을 것으로 BBC는 예상했다. 인도는 에너지 수입 대부분을 러시아에 의지하고 있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명시적으로 비난한 적이 없다. 서방이 러시아산 석유에 부과한 가격 상한제 등의 제재에도 맞서며 오히려 에너지 수입량을 늘리고 있다. 

베트남도 무기와 비료 등 부문에서 러시아 무역 비중이 크다. 인도네시아 역시 러시아산 무기를 상당량 수입하며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소(ISEAS)의 응우옌 칵 장 객원연구원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에 명시적으로 반대하거나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대만해협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감도 인접국 일본 입장에서는 풀어내야 할 최대 위기 요소 중 하나라는 점이다. BBC는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한 G7 회원국인 일본은 이번 정상회의가 대만 주변에서 무력 시위를 이어가는 중국에 대응할 기회로 여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일본이 함께 대응하고 있듯 서방 역시 대만해협 군사 긴장에 유럽이 일본과 단일대오를 형성해 줄 것을 기대한다는 메시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전 세계 공급망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러시아보다 훨씬 접근법이 까다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서구 국가들은 선거나 정치적 상황에 따라 중국이나 북한 등 아시아권에 대한 입장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지난달 중국을 찾아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난 후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갈등을 가리켜 "우리 일이 아닌 위기"라고 부르며 선을 그은 게 대표적 사례다.

BBC는 "물론 지난 1년간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나 대만에 대한 약속에 있어서 동요하지 않았다"면서도 "G7은 2019년 호주산 제품 수입금지, 2017년 한국 기업을 겨냥한 조치 등 자국에 비판적인 행동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보복조치를 우려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태평양 지역에 주도권을 확대하고자 하는 중국의 움직임을 견제하는 것도 일본에는 또 하나의 과제다. 이 방송은 "G7의 경제력은 약화하고 있고, 전선은 그다지 통일돼있지 않다"며 "영향력 있는 새로운 친구들이 필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