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민에게 문화재 반환 필요성 적극 알려야 한다”
  • 조현주 인턴기자 ()
  • 승인 2010.03.09 21: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 츠키야마 에이지 도쿄 신문 한국 특파원

ⓒ시사저널 임영무
도쿄 신문은 일본의 나고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일본 최대의 지방지이다. 발행 부수는 약 3백30만부로 일본 내 신문사 중 4위에 해당한다. 츠키야마 에이지 도쿄 신문 한국 특파원은 한국의 <조선왕실의궤> 반환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일본 내에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에서 2010년은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해이다. 그만큼 문화재 반환 요구가 많다. 일본에서는 2010년의 의미를 크게 두지 않고 있다. 거의 관심이 없다. 물론 기자로서는 이 시기에 의미를 두고 있다.

경술국치 100년이 한·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가? 조심스러운 문제이다. 지난 3·1절 이명박 대통령의 연설이 있기 전에 일본 특파원들에게 연설문 전문이 미리 공개되었다. 원래의 연설문에는 ‘강제 병합 100주년’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하지만 실제 대통령이 연설할 때에는 이 표현이 모두 빠졌다. 이것은 대통령의 개인적인 생각이 반영된 것이라고 본다. 이대통령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에 사과 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삼고 있다. 3·1절 연설에서 ‘강제 병합 100년’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이대통령의 기본 방침상 2010년이 그리 특별한 해가 아니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대통령의 방침대로라면 일·한 관계는 한국의 적극적인 요구보다 일본의 자발적인 접근이 있어야 진전이 가능하다.

한국의 문화재 반환 요구에 대한 일본 내의 여론이 궁금하다. 국민적인 관심은 없지만, 한국이 원하면 반환해야 한다는 생각이 기본적이다. 이것은 한국의 위상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이 보여준 모습이나 한국의 기업 문화 등을 접하고, 최근 일본에서는 ‘한국을 배우자’는 움직임이 강하다. 또한, 민간 차원의 교류가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한국을 이해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게다가 문화재 반환 요청은 과거사 청산 문제보다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편이다. 과거사 청산처럼 일본 국민들의 저항감을 살 소지가 크지 않다. 다만, 일본 정부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국의 문화재 반환 움직임에 대해 일본 정부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가? 아직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조선왕실의궤>는 일본 궁내청이 가지고 있다. 국가 소장품이기 때문에 반환이 이루어지려면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일본 국민들에게 한국 문화재 반환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일본 국민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료가 필요한데, 한국 정부는 아직까지 일본에 있는 어떤 문화재들을 왜 반환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측은 반환을 원하는 문화재를 선별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일본 정부의 대응은 한국 정부가 체계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문화재 반환을 (공식적으로) 요청해야만 진전이 있을 것이다.

일본 학계는 어떤 입장인가? 일·한 공동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학계 전체가 아닌 몇몇 학자들의 논문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지만). 일본 국민 대다수가 무엇이 한국에서 약탈한 문화재인지, 반환하는 것이 왜 당연한지 전혀 모르고 있다. 약탈 문화재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입장은 달라질 수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