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리더-의학·과학] 우재성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
  •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22.10.20 07:35
  • 호수 17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저널 선정 '2022 차세대리더' 100인]
차세대 신약 개발의 핵심인 막단백질 연구자

시사저널의 창간 기획 ‘차세대 리더 100’은 국내 언론 사상 최장기 기획인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의 미래 버전이다. 창간 33주년을 맞아 시사저널이 내놓는 ‘2022 차세대 리더 100’의 선정 과정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 경제(기업·IT·스타트업), 사회(법조·환경·NGO·종교·의학·과학·크리에이터), 문화(예술·영화·방송연예·스포츠·레저) 각 분야에서 내일의 대한민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물 100명을 추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칸타퍼블릭’에 의뢰해 전문가 500명, 일반 국민 500명 등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이를 기초자료로 해서 시사저널 기자들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후보군을 압축했다. 최종적으로 시사저널 편집국에서 올 한 해 미디어에 나온 여러 자료를 검토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국내외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미래의 불확실성과 함께 위기감이 커지는 2022년 말. 시사저널이 제시하는 100명의 차세대 리더를 보면서, 그래도 내일을 기대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기를 소망해 본다.

ⓒ고려대 홈페이지 제공
ⓒ고려대 홈페이지 제공

구조생물학은 화학과 생물학 경계에 있는 학문으로, 2003년 이후 많은 구조생물학자가 노벨상을 받았다. 우재성(45)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세계적인 구조생물학자다. 구조생물학 분야에서도 막단백질 연구자다. 막단백질은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이다. 

치료 약물은 세포 속으로 들어가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환자는 약을 많이 먹어야 한다. 그러나 약을 많이 먹으면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요즘은 약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막단백질에 작용하는 약물을 개발한다. 따라서 막단백질 연구는 차세대 신약 개발의 핵심이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우 교수는 지난해 ‘마크로젠 과학자상’을 받았다. 

마이크로RNA 분야의 석학인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와도 연구를 진행한 바 있는 그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RNA 생합성 효소의 구조를 규명하면서 2015년과 2016년 과학학술지 ‘셀’에 논문을 게재했다. 이후에도 세계적인 학술지에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구조생물학 분야 발전에 공헌했다. 포항공대 박사 출신으로 2017년부터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로 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