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IT·의·과학인물] ‘수학계의 노벨상’ 빛나는 허준이 교수
  •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22.12.29 12:05
  • 호수 173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평생 하나도 풀기 어렵다는 난제 11개 증명

[편집자 주]

2022년도 이제 역사의 한 페이지로 넘겨지고 있다. 후세대에게 2022년은 어떤 한 해로 기억될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북한의 잇단 미사일 도발, 미 연준발(發) 고물가·고금리 행진, 10·29 이태원 참사 등 연이어 나오는 우울한 뉴스들은 가뜩이나 3년째 계속되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쳐 있는 국민을 더 숨막히게 만들었다. 그나마 누리호 2차 발사 성공과 월드컵 16강 진출의 투혼은 숨통을 좀 트이게 했다.

시사저널은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면서 가슴 아픈 일은 가슴 아픈 일대로, 기쁜 일은 기쁜 일대로 정확히 기록에 남기고자 ‘올해의 인물’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올해의 인물은 시사저널이 1989년 창간 첫해부터 매년 송년호에 발표하는 장기 연재기획이다. 특히 2022년에는 여론조사기관 시사리서치에 의뢰해 시사저널 정기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처음 실시했다. 시사저널 편집국과 본지 정기독자들이 선정한 2022 올해의 인물은 윤석열 대통령이다. 편집국 기자들도, 정기독자들도 의견이 일치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대통령만큼 우리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물은 없는 탓이다. 역대 대통령들도 대부분 당선된 첫해, 올해의 인물에 이름을 올리곤 했다.

이 밖에 정치 인물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제 인물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회 인물에 한동훈 법무부 장관, 문화 인물에 ‘우영우’ 신드롬의 박은빈, 국제 인물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IT·의·과학 인물에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연예 인물에 BTS, 스포츠 인물에 축구선수 손흥민 등이 선정됐다. 올해의 사건에는 이태원 참사를 선정했다. 

시사저널이 선정한 2022년 IT·의학·과학 분야 올해의 인물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39)다. 그는 지난 7월5일 필즈상(Fields Medal)을 받았다. 캐나다 수학자 존 찰스 필즈(1863~1932)의 유언으로 제정된 필즈상은 세계수학연맹(IMU)이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때 2~4명의 수학자에게 수여한다. 이 상은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릴 만큼 수학자에게 가장 영예로운 상이다. 

4년마다 상을 수여하는 점과 수상자 나이가 40세 미만이라는 점에서 필즈상은 노벨상 이상의 가치가 있다. 과거 업적을 기리기도 하지만 미래 수학계에 공헌할 수학자에게 상을 주라는 존 찰스 필즈의 유연에 따라 수상자는 상을 받는 그해 40세 미만이어야 한다. 이 상은 1936년부터 2022년까지 64명에게 수여됐는데, 한국계 인물로는 최초로 허 교수가 이 상을 받았다. 

허 교수의 연구 분야는 ‘조합 대수기하학’이다. 대수기하학(algebraic geometry)을 통해 조합론(combinatorics)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인데, 조합론은 중·고등학교 수학에 나오는 ‘경우의 수’를 통해 익숙한 분야다. 예컨대 10개의 물건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찾는 것이다.

수학자들은 종종 난제를 추측의 형태로 제시한다. 대표적인 난제가 1968년 제시된 리드 추측(Read’s conjecture)이다.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을 바탕으로 이 난제뿐만 아니라 호가 추측(Hogar’s conjecture)과 로타 추측(Rota’s conjecture) 등 11개 난제를 풀었다. 수학계에서는 평생 하나도 풀기 어렵다는 난제들이다. 이런 면에서 허 교수는 필즈상을 받고도 남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필즈상 수상자 명단에 제가 하는 분야인 대수기하학에 큰 공헌을 하신, 저에게는 영웅 같은 분들도 이름이 줄줄이 있다. 그 명단 바로 밑에 내 이름이 한 줄 써진다고 생각하면 이상하기도 하고 부담스럽기도 하고 묘한 기분”이라는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시사저널 이종현

대학 4학년 때 수학의 묘미에 매료돼

허 교수는 부모가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공부를 할 때 태어났고, 2세 때 부모와 한국으로 돌아왔다. 서울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는데 고등학교 1학년 때 자퇴했다. 건강 문제로 야간자율학습을 빼달라는 요청을 학교가 거부하자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을 떠난 것이다.

검정고시 후 2002년 서울대에 입학해 물리천문학과 수학을 공부했으나 성적이 좋지 않아 6년 동안 학부 생활을 했다. 그가 4학년 때 수강한 히로나카 헤이스케 일본 수학자의 강의는 허 교수의 인생을 바꿔놓았다. 서울대는 1970년 필즈상을 받은 히로나카 교수를 석좌교수로 초빙했었다. 강의 내용이 어려워 학기 초에는 수강생이 많았지만 학기가 끝날 무렵에는 몇 명 남지 않았을 정도였다. 그렇지만 허 교수는 그 강의를 들으면서 수학의 묘미에 빠져들었다. 

그것은 2007년 대학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 수학과에 진학하는 계기가 됐다. 2009년 석사를 받고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다. 이때 리드 추측을 풀었다. 이 난제가 풀렸다는 소식은 세계 수학계에 퍼졌다. 허 교수는 여러 대학으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는데 결국 미시간대 대학원으로 옮겨 2014년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석학들만 모인다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스탠퍼드대를 거쳐 2021년부터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허 교수는 2022년 8월29일 모교인 서울대 학위 수여식에서 “취업 준비, 결혼 준비, 육아, 교육, 승진, 은퇴, 노후 준비를 거쳐 어디 병원 그럴듯한 1인실에서 사망하기 위한 준비에 산만해지지 않기를 바란다”는 축사를 남겼다. 

☞ ‘2022 올해의 인물’ 연관기사
[시사저널 선정 ‘2022 올해의 인물’] 한 해를 정리하는 기록의 한 페이지   
[올해의 인물-윤석열] 한 학기 마친 尹대통령, 평가는 지금부터다   
[올해의 정치인물] 검찰 소환에 반격 나선 이재명, 정면돌파 가능할까  
[올해의 경제인물] 10년 만에 회장 승진 이재용의 승부수는?
[올해의 사회인물] 때릴수록 강해지는 ‘신언서판’ 한동훈 장관
[올해의 문화인물] ‘우영우 신드롬’으로 세계인 홀린 박은빈
[올해의 국제인물] 젤렌스키, 패권국가와 약소국의 일반적 등식 완전히 무너뜨려
[올해의 IT·의·과학인물] ‘수학계의 노벨상’ 빛나는 허준이 교수
[올해의 연예인물] 팬덤 아미와 손잡고 2막 나서는 BTS
[올해의 스포츠인물] 손흥민, 한국의 슈퍼스타 넘어 세계의 트렌드 세터로
[올해의 사건] ‘사건’이란 단어로 담을 수 없는 비극, 이태원 참사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