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건] ‘사건’이란 단어로 담을 수 없는 비극, 이태원 참사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22.12.28 10:05
  • 호수 173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현에 대한 논란부터 유족에 대한 비난까지…결국 “책임 규명이 가장 중요”

[편집자 주]

2022년도 이제 역사의 한 페이지로 넘겨지고 있다. 후세대에게 2022년은 어떤 한 해로 기억될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북한의 잇단 미사일 도발, 미 연준발(發) 고물가·고금리 행진, 10·29 이태원 참사 등 연이어 나오는 우울한 뉴스들은 가뜩이나 3년째 계속되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쳐 있는 국민을 더 숨막히게 만들었다. 그나마 누리호 2차 발사 성공과 월드컵 16강 진출의 투혼은 숨통을 좀 트이게 했다.

시사저널은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면서 가슴 아픈 일은 가슴 아픈 일대로, 기쁜 일은 기쁜 일대로 정확히 기록에 남기고자 ‘올해의 인물’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올해의 인물은 시사저널이 1989년 창간 첫해부터 매년 송년호에 발표하는 장기 연재기획이다. 특히 2022년에는 여론조사기관 시사리서치에 의뢰해 시사저널 정기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처음 실시했다. 시사저널 편집국과 본지 정기독자들이 선정한 2022 올해의 인물은 윤석열 대통령이다. 편집국 기자들도, 정기독자들도 의견이 일치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대통령만큼 우리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물은 없는 탓이다. 역대 대통령들도 대부분 당선된 첫해, 올해의 인물에 이름을 올리곤 했다.

이 밖에 정치 인물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제 인물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회 인물에 한동훈 법무부 장관, 문화 인물에 ‘우영우’ 신드롬의 박은빈, 국제 인물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IT·의·과학 인물에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연예 인물에 BTS, 스포츠 인물에 축구선수 손흥민 등이 선정됐다. 올해의 사건에는 이태원 참사를 선정했다. 

사건(incident).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받을 만한 뜻밖의 일을 가리킨다. 지난 10월29일 밤 서울 이태원에서 인파에 의한 압박으로 158명이 죽고 197명이 다친 일은 이러한 정의에 부합한다. 그럼에도 사건이란 단어는 이태원의 슬픔을 모두 담아내기에 부족하다는 시각이 있다. 그만큼 이태원 참사는 지극히 이례적이고, 너무나 큰 문제적 파장을 낳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애도 성명을 통해 ‘비극(tragedy)’으로 표현했다.

“아들의 사망신고는 아마 영원히 하지 못할 것 같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유족협) 대표 이종철씨는 지난 12월16일 이같이 말했다. 이날은 참사 희생자들의 49재가 진행된 날이다. 이 대표는 배우였던 아들 고(故) 이지한씨를 가슴에 묻었다. 이 대표를 비롯한 유족협은 49재 추모제에서 “우리를 기억해 주세요”라고 외쳤다. 그런데 다소 변질된 형태로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 형태를 왜곡하려는 세력도 존재했다. 참사가 낳은 또 다른 사건이다.

부수적인 사건은 참사를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부터 발생했다. 참사 다음 날인 지난 10월30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회의에서 참사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기로 합의했다. 또 ‘피해자’ 대신 ‘사망자’ ‘사상자’ 등의 용어를 쓰자고 했다. 이 때문에 “재난 규모와 국가 책임을 축소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그 밖에 10월30일 오후에 열린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는 ‘압사’란 단어를 빼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의혹이 뒤늦게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11월3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에 마련된 추모 공간이 희생자를 기리는 국화와 시민들이 작성한 추모 메시지로 가득하다.ⓒ시사저널 박정훈

국회 국정조사 특위, 12월21일 첫 현장조사

유족의 아픔에 소금을 뿌리는 발언도 이어졌다. 김미나 국민의힘 창원시의원은 “국가가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는가?(11월23일 페이스북) 등의 글을 썼다.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왜 정부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깁니까”(12월11일 페이스북)라고 했다. 모두 책임의 주체가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드러난 반감이 섞인 글이다. 결국 핵심은 책임 소재로 귀결된다. 이는 유족도, 정부도 공감하는 대목이다. 유족협은 ‘책임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 사항의 하나로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 역시 지난 12월12일 “법적 책임 소재 규명이 가장 중요하다”고 발표했다.

국회는 뒤늦게 책임 규명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 지난 12월21일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여야 갈등으로 공회전을 거듭하다 11월24일 특위가 출범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특위는 조사 과정에서 경찰의 대응이 미흡했던 정황을 확인했다. 또 검찰은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등의 혐의로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박희영 용산구청장에 대해 12월19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 ‘2022 올해의 인물’ 연관기사
[시사저널 선정 ‘2022 올해의 인물’] 한 해를 정리하는 기록의 한 페이지   
[올해의 인물-윤석열] 한 학기 마친 尹대통령, 평가는 지금부터다   
[올해의 정치인물] 검찰 소환에 반격 나선 이재명, 정면돌파 가능할까  
[올해의 경제인물] 10년 만에 회장 승진 이재용의 승부수는?
[올해의 사회인물] 때릴수록 강해지는 ‘신언서판’ 한동훈 장관
[올해의 문화인물] ‘우영우 신드롬’으로 세계인 홀린 박은빈
[올해의 국제인물] 젤렌스키, 패권국가와 약소국의 일반적 등식 완전히 무너뜨려
[올해의 IT·의·과학인물] ‘수학계의 노벨상’ 빛나는 허준이 교수
[올해의 연예인물] 팬덤 아미와 손잡고 2막 나서는 BTS
[올해의 스포츠인물] 손흥민, 한국의 슈퍼스타 넘어 세계의 트렌드 세터로
[올해의 사건] ‘사건’이란 단어로 담을 수 없는 비극, 이태원 참사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